(무안=뉴스1) 전원 기자 = 미국 정부가 한국에 대해 25% 상호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발표하면서 전남의 수출효자 품목인 '김'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3일 전남도 등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이날 오전 관세율 10%를 기본으로 한국 25%, 일본 24%, 유럽연합(EU) 20%, 중국 34%, 대만 32% 등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했다.
미국은 상호관세 대상에서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라 관세 부과를 시작했거나 예고한 철강·알루미늄 제품,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구리, 의약품, 반도체, 목제 제품과 향후 제232조에 따른 관세가 부과될 수 있는 모든 제품은 상호관세에서 제외했다.
이로 인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상품을 무관세로 교역하던 한국의 수출 산업에 타격이 우려된다.
전남도는 수출 효자 품목인 김의 수출에 영향을 미칠지 주의깊게 보고 있다.
지난해 전남지역 김 수출액은 농수산물 전체 수출액의 46.8%인 3억 6441만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2월까지 전남의 김 수출액도 5945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7% 증가하며 전체 전남 농수산물 수출의 51.2%를 차지했다.
국가별로 보면 올해 2월까지 김 수출액은 미국이 가장 많은 1779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104만 달러보다 61.2%가 늘었다.
김에 대한 25% 상호관세가 부과될 경우 현지 소비자의 구매가 위축될 수 있고, 가격이 올라가면 구매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관련 물동량이나 소비 상황 등을 주시하고 있다.
전남도는 회의를 열어 관련 대책을 논의할 방침이다.
전남도 관계자는 "관세가 부과될 경우 농수산물에 대한 타격이 바로 있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도는 김 수출 확대를 위해 시장 다변화 등을 추진한다. 도는 37억 5000만 원을 투입해 김을 포함한 농수산식품 수출 특화 품목 직불금 지원 단가를 확대한다.
30억 원을 투입해 수출 컨테이너 내륙 운임 지원, 해외 식품 규격 인증 취득 지원 등도 추진한다.
수출용 김의 안정성을 확인하는 검사비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 사업에는 3억 3300만 원이 투입돼 중금속이나 미생물, 방사능 등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게 된다.
junw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