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가 12·3 계엄 이후 헌법재판소 탄핵 선고가 지연됨에 따라 탄핵 선고 시까지 추경과 통상, 민생 경제 대응을 중심으로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31일 기자들과 차담회를 갖고 "탄핵 선고 시까지 매일 운영하는 일일 상황 회의를 추경·통상·민생 경제 일일 경제 상황 점검 회의로 전환해 비상 상황 체계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탄핵 선고 지연으로 길고 무거운 118일의 민생 경제 청구서가 날아들고 있다"며 "헌재의 탄핵 지연으로 국민 갈등과 경제 위기는 어느 때보다 커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호 관세를 예고하고 있는 트럼프 무역 전쟁으로 우리 제조업과 수출 기업은 위협받고 있다"며 "자영업과 소상공인들의 폐업 우려는 현실로 나타나고 소비는 어느 때보다 위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 시장은 정부의 추경 추진 계획안 발표에 따라 일일 경제 상황 점검 회의를 통해 추경과 통상, 민생 경제를 점검할 계획이다.
정부는 전날 재난 재해 대응, 통상 AI 경쟁력 강화, 민생 지원 등 3대 분야 10조원 규모의 추경 추진 계획안을 발표했고 국회 차원에서 추경 논의가 시작됐다.
광주시는 추경과 관련 행정부시장과 문화경제부시장을 중심으로 추경 대응반을 운영해 미래 투자 예산과 민생 안전, 민생 안정 예산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통상 분야는 기존 운영해 오던 수출 경쟁력 강화 지원단과 중소기업 위기 지원센터 등을 중심으로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현장 소통도 확대하기로 했다.
민생 경제는 착한 소비, 선결제 등 올해 추진하고 있는 '광주 경제 다 함께 착착착'에 대한 점검과 참여 기관의 확산을 지속적으로 유도한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이전과 대응 체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강기정 시장은 "헌재는 헌법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인 만큼 헌법을 잘 지킬 수 있도록 헌법을 지키지 못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당연히 파면을 결정해야 한다"며 "이른 시간 안에 선고를 통해 헌법을 지키는 수호 기관임을 명백히 국민 앞에 선언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헌재가 헌재의 역할을 잘해야 하는 게 첫 번째이고 대통령 권한대행이 마은혁 재판관을 빨리 임명해 주는 게 두 번째 조건"이라며 "세 번째로 헌법을 지키고자 하는 모든 분, 내란에 대해 반대하고 계엄의 잘못을 동의하는 모든 시민, 국민이 헌재의 파면 촉구와 빠른 결정을 요구해 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nofatejb@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