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뉴스1) 전원 기자 = 전남도는 31일 질병관리청에서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한 상황에서 지역에서 일본뇌염 모기가 확인됨에 따라 모기에게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일본뇌염 주의보는 작은빨간집모기 최초 채집일을 기준으로 발령된다. 지난 24~26일 채집된 모기 중 작은빨간집모기가 확인됐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3월 말부터 발생해 8~9월에 정점을 보인다.
일본뇌염은 3급 법정감염병이다. 감염되면 대부분 발열이나 두통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며,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경련, 마비 등 증상이 발생한다. 이 중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어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해 전남에선 일본뇌염 환자 발생이 없었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으로 국내 일본뇌염 환자 최초 발생이 2022~2023년 8월에서 2024년 5월로 빨라졌다.
모기가 활동하는 4~10월엔 야외활동 시 길고 품이 넓은 옷 착용, 모기 기피제 사용, 집 주위 고인 물 없애기, 방충망 및 모기장 사용 등 예방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은 생후 12개월 이후부터 시작되므로 일정에 맞춰 접종해야 하며, 보건소나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남도는 일본뇌염 등 매개체를 통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아파트, 쓰레기장, 하천, 오폐수처리장 등 매개체 서식지 2만 3000개소를 대상으로 보건소, 자율방역단과 함께 방역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4월 2일엔 시군읍면 방역담당자 120명을 대상으로 모기생태 및 방제약품, 환경친화적 매개체 방제 교육, 현장 사례공유 등 감염병 매개체 종합방제 교육을 할 예정이다.
나만석 도 감염병관리과장은 "일본뇌염 적기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모기물림 예방수칙도 꼭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junw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