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뉴스1) 정우용 기자 = 금오공대는 2일 박정환 교수 연구팀이 플래시 광을 이용해 삼차원(3D) 다공성 그래핀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실시간 생체신호 모니터링 시스템에 성공적으로 적용했다고 밝혔다.
박 교수팀은 기존 그래핀 제조 공정의 비효율성과 고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한 플래시 광을 순간적으로 플라스틱 필름에 조사해 내부 구조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수 밀리초(0.001초) 내에 넓은 면적의 고순도·고전도성 3D 다공성 그래핀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이 그래핀은 높은 공극률을 가져 센서의 민감도를 크게 향상하고 신체의 움직임, 온도, 땀 이온 변화 등 생체신호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어 피부 부착형 웨어러블 헬스케어 센서에 적용하면 실시간으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금오공대와 전북대, 미국 코넬대 등과 함께 진행됐으며, 에너지 분야 최고 학술지 'Energy & Environmental Materials'에 게재됐다.
박 교수는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활용하면 미래 전자소재 상용화를 위한 혁신적인 생산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며 "이 연구가 헬스케어뿐 아니라 다양한 웨어러블 전자소자에 적용될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newso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