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국립현대미술관(MMCA)은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을 17일부터 7월 6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개최한다. 20세기 한국미술사에서 소홀히 다루어진 근대미술 작가를 발굴하고 최초로 재조명하는 자리다. 2019년 처음으로 개최한 '근대미술가의 재발견: 절필시대' 이후 두 번째 시리즈다.
초현실주의는 프랑스에서 시작됐다. 인간 정신을 구속하는 모든 억압으로부터 해방을 꿈꾸며 예술로써 삶의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혁명적인 운동이다. 1920년대 말 전 세계로 확장됐고, 한국 미술계에서는 1930년대 말 김환기, 이중섭, 유영국 등 일본 유학생들을 통해 시도됐다. 하지만 식민과 전쟁, 분단으로 인해 이후 적극적으로 전개되지 못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비록 한국미술사에서 주류는 되지 못했지만, 평생 초현실주의를 지향한 작가들을 재조명한다. 김욱규, 김종남(마나베 히데오), 김종하, 신영헌, 김영환, 박광호 등 6인이다. 모두 작고한 작가들이다.


전시는 총 2부로 구성되며 6명의 작가를 소개하기에 앞서 1920년대 말~1930년대 초 ‘초현실주의’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한 이래 초현실주의가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전개됐는지 문화번역 관점에서 살펴본다.
1부 '삶은 다른 곳에 있다'는 1전시실에 마련된다. 1부 제목은 20세기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시인이자 미술평론가 앙드레 브르통의 '초현실주의 선언'의 마지막 문장에서 따온 것이다. 작가가 의식적으로 초현실주의를 실천하지는 않았지만 작품 속에서 그 유산을 발견할 수 있는 작품들로 구성됐다.
2부는 2~4전시실을 통해 6명의 작가를 본격적으로 조명한다. 2전시실에서는 1930년대 일본에서 미술공부를 하며 초현실주의를 직접 체험했던 '김종남'과 '김욱규'를 소개한다. 3전시실에서는 개인의 내밀한 욕망이나 에로틱한 환상을 그려낸 '김종하'와 '박광호'를 소개한다. 4전시실에서는 해방 후 세워진 국내 미술대학 1세대로서 한국 근대사 및 미술사의 토대 위에 형성된 독특한 초현실주의적 세계를 보여준 '김영환'과 '신영헌'을 소개한다.


전시 기간 중인 5월 17일에는 현대미술사학회와 공동주최로 초현실주의를 주제로 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한국근대미술에서 초현실주의의 태동과 위치짓기에 대한 미술계의 심도있는 토론이 예정돼 있다. 자세한 내용과 참가 신청은 향후 국립현대미술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성희 국립현대미술관장은 "한국근대미술사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를 발굴, 소개하여 미술사를 보다 다채롭게 바라보고자 기획된 전시"라며 "초현실주의를 매개로 한국근대미술사를 새롭게 조망하는 이번 전시를 통해 관람객들이 새로운 미적 경험과 시각, 풍성한 영감을 얻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acene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