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1968년 4월 1일, 대한민국에 향토예비군을 창설됐다. 향토예비군은 현역 복무를 마친 예비역들을 중심으로 편성된 예비 전력이었다. 국가 비상사태 발생 시 즉각 전력에 투입될 수 있도록 조직됐다.
향토예비군 창설의 직접적인 배경은 1968년 1월 발생한 '1·21 사태'였다. 북한의 무장공비들이 청와대를 습격하려다 실패한 이 사건에 국민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이에 정부는 정규군 외에 추가적인 전투력 확보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향토예비군 창설을 결정했다.
향토예비군 창설에 대한 국내 반응은 엇갈렸다. 일부는 안보 강화에 기대를 표했지만, 다른 일부는 예비군 훈련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과 불편함을 우려했다. 정부의 반공 이데올로기에 따른 또 다른 국민 지배 수단으로 보는 시각도 있었다. 하지만 정부는 향토예비군이 국가 안보의 필수적인 요소임을 강조하며 전격 시행했다.
향토예비군은 창설 이후 군 전력을 보완하고 지역 방위와 재난 극복에 크게 기여해 왔다. 예비군들은 지역 내 주요 시설을 방호하고, 재난 발생 시 복구 작업에 참여하며 국민들의 안전을 지키는 데 힘썼다. 또한, 예비군 훈련은 예비역들의 전투력 유지 및 향상에 기여하며 국가 안보의 핵심 전력으로 자리매김했다.
향토예비군은 시대 변화에 발맞춰 지속적으로 변화해 왔다. 1990년대 이후에는 예비군 훈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훈련 내용과 방식을 개선했다. 2000년대에는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한 예비군 관리 시스템을 도입했다. 올해부터는 저출산으로 인한 병력 감소에 대비해 최장 6개월간 소집·훈련을 받으면 최대 2700만 원까지 수당을 받을 수 있는 '비상근 예비군'도 모집한다.
향토예비군은 지난 반세기 동안 국가 안보를 지키는 든든한 버팀목이었다. 향토예비군은 미래 전장 환경에 대비해 첨단 장비 도입과 훈련 체계 개선을 통해 예비군의 전투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acene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