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박창욱 기자 =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서용교 의원(새누리당)은 17일 "문화재청이 그동안 수차례 지적받은 창덕궁 빈청(어차고)의 카페테리아 전용 문제에 대해 2014년 계약 만료 후 원형복원을 하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않고 9월 현뒤집고 현재까지 카페를 운영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창덕궁 빈청(어차고)의 카페테리아 전용 문제는 2010년 6월 국회 업무보고에서 최초 문제제기 된 이후 5번의 국정감사에서 수차례 지적을 받았다. 이에 문화재청은 2014년 카페테리아 위탁계약 만료 후 빈청이나 어차고로 복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서 의원의 확인 결과, 문화재청은 약속을 뒤집어 2014년 말 문화재재단과 위탁계약을 연장 했으며, 여전히 빈청(어차고) 건물을 카페테리아 겸 홍보관으로 쓰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은 "2010년 빈청 복원을 위한 조사 실시 결과 빈청 추정 기단 일부가 확인되었으나, 건물 구조 및 형태에 대한 세부 고증자료가 부족하여 창덕궁 전체 복원과 더불어 충분한 고증자료를 확보해 추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또 "어차고도 역사적 가치가 있기 때문에 빈청 복원 전까지 보존하되 관람객 편의를 위한 홍보관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의원은 그러나 창덕궁을 직접 방문해 확인한 결과, ‘어차고도 역사적 가치가 있기에 보존하겠다’는 문화재청의 설명이 무색하게 해당 건물 앞에는 올해 5월 설치한 안내판 하나가 전부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카페 내부에는 사용허가서 외에 이곳이 어떤 공간인지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창덕궁 입구의 궁궐 안내도에도 빈청은 단순히 ‘홍보관’으로 표기돼 있었다"라고도 했다.
서 의원은 “대신들의 회의공간이었고, 왕의 어차고였던 문화재를 휴게공간으로 쓰고 있는 것은 문화재 훼손”이라며 “관람객들도 자신들이 이용하는 카페테리아가 조선시대 대신들의 회의공간이었고, 일제가 궁궐을 폄훼하기 위해 차고로 바꾼 아픈 역사가 있는 문화재라는 것을 안다면 운영을 원치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카페 이용은 일제가 빈청을 어차고로 변형한 것과 결코 다르지 않다”며 “해당 문화재의 원형을 최대한 복원해 보존하고 후대에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알려줘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