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형준 기자 = 중소기업 옴부즈만 이 의료기기 인허가와 인증 취득 비용에 대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관계 부처에 지원책 확대를 건의하기로 했다.
중기 옴부즈만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대구지역본부에서 '에스오에스 토크'(S.O.S. Talk·중소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고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기 위해 마련했다.
간담회에는 최승재 중기 옴부즈만을 비롯해 반정식 중진공 지역혁신이사, 위봉수 중진공 대구지역본부장, 이명기 경북지역본부장, 최영식 경북남부지부장, 대구경북지역 중소기업 대표 등 20여 명이 참석했다.
간담회에 앞서 최 옴부즈만은 대구 동구에 위치한 의료용 기기 제조업체인 '인코아'를 찾았다.
최 옴부즈만은 내시경처치구, 지혈거즈 등 의료용 기기 제조시설을 둘러보고 의료기기 인허가 및 인증 취득 비용에 대한 애로사항을 들었다.
인코아 측은 국내외 임상시험과 의료기기 인증을 취득할 때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데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부족하다고 호소했다.
이에 최 옴부즈만은 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 부처에 현장 목소리를 전달하고 해결을 건의하겠다고 말했다.
간담회에서는 경북 영천시에서 친환경 재생원단을 생산하는 A 기업이 '소기업 공동사업제품 우선 구매제도'의 조달청 위탁 계약금액을 현 10억 원에서 그 이상으로 확대해 달라고 건의했다.
옴부즈만은 판로 확대에 대한 어려움을 고려해 기준 금액을 20억 원으로 상향 건의했고 그 결과 조달청은 올해 하반기 업계 의견 수렴 등을 거쳐 기준 금액 상향을 추진하겠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대구 달성군에서 소방용품을 개발·제조하는 B사는 새로 개발한 제품이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인증대상에 해당하지 않아 수출 등 영업활동에 애로가 있다며 인증 대상 범위를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KFI 측은 통용성 등 종합적인 관점에서 인증 부합성을 고려해야 해 중장기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소방 관련 기업의 개발 제품에 기존 기준을 적용할 수 없을 때 심사를 통해 신청자가 제시한 기준을 등록하는 'KFI 품질권고기준' 제도를 운영 중이라며 해당 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이 자리에서 반정식 중진공 지역혁신이사는 "앞으로도 중진공은 지역 중소기업들과 소통을 통해 현장의 목소리가 정책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옴부즈만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승재 옴부즈만은 "지속적으로 관계 부처에 현장 목소리를 전달하고 협의해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j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