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장관이 '트럼프발' 관세전쟁으로 부담이 커진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원청 대기업에도 협조를 요청하겠다고 강조했다.
오 장관은 5일 경기 시흥의 자동차부품 제조기업을 방문, 미국의 캐나다·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시행에 따른 수출 중소기업의 영향 등을 점검했다.
중기부는 지난해 11월부터 트럼프 2기 대응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지난 2월 18일에는 '중소·벤처기업 수출지원 방안'을 발표하고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부과는 지난 2월 4일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한 달간 유예된 바 있다.
이번 관세 시행에 따라 대기업과 함께 캐나다, 멕시코에 동반 진출한 중소기업과 캐나다, 멕시코를 통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중소기업들은 큰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오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미국 관세 조치에 따라 발생하는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신속하게 점검하고 피해기업의 신속한 경영 정상화, 수출국 다변화 등의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기업에도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중기부는 현재 관세 조치에 따른 피해기업 경영난 완화를 위해 15개 수출지원센터에 애로신고센터를 설치해 피해접수와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긴급경영안정자금 등을 통한 신속한 경영 정상화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수출국 다변화를 추진하는 기업을 신속 지원하기 위해 '정책자금 패스트트랙'을 도입했다.
앞으로 수출컨소시엄과 수출바우처 운영 시에도 관세 조치에 영향을 받은 중소기업을 우선 지원해 신규 바이어 발굴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외 현지에 법인을 설립한 중소기업들의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올해부터 처음으로 국내 중소기업의 해외법인에 대해 600억 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공급한다.
대기업과 함께 해외 현지법인을 설립하거나 다른 국가로 이전을 추진하는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최대 3년간 10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이번 현장 방문에서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인 율촌의 이흥해 회장은 개별기업 차원의 대응 방안 마련과 함께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zionwk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