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중동 방한 관광 활성화 협의체인 '알람 아라비 코리아'의 출범 2년 차를 맞이해 15개 업체를 새로운 회원사로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알람 아라비 코리아는 지난해 2월 유인촌 문체부 장관과 장미란 문체부 제2차관, 중동 5개국 주한 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중동 방한 관광 활성화를 위해 문체부와 관광공사, 기업들이 함께 출범한 민관 협의체이다.
이번 추가 선정으로 '알람 아라비 코리아'의 회원사는 중동 방한객 친화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숙박·의료·미용·쇼핑·식음료·문화예술·컨시어지 7개 분야, 총 46개 업체로 확대했다.
특히 올해부터 대중교통보다는 고급 차량을 이용해 가족 단위로 이동하는 특성에 맞게 브이아이피(VIP) 이동·의전 서비스 제공업체를 대상으로 하는 '컨시어지 부문'을 신설했다.
새롭게 선정한 기업은 △콘래드 서울(숙박) △아모레 성수(미용)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쇼핑) △발우공양(식음료) △롯데렌탈(컨시어지) 등 15개 업체이다.
지난해 중동 걸프협력이사회 6개국의 방한객 수는 4만 959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중 사우디아라비아의 방한객은 2만 2000여 명으로 55%를 차지하며 2019년 대비 60% 이상 성장했다.
중동 방한객의 절대적 규모는 크지 않지만 이들은 대가족 단위로 여행하며 장기간 고품질(럭셔리) 관광을 즐기는 특성 때문에 중동은 초고부가 방한 시장으로 주목받는다.

2023년 외래관광객 조사에 따르면, 중동 방한객 1인당 평균 소비는 미화 3637달러로 전체 방한객 평균 2152달러 대비 약 66% 높으며 체류 기간은 11.8일로 전체 방한객 평균 7.8일을 훨씬 상회한다.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 등 중동 걸프협력이사회 6개국의 해외여행 시장은 △적극적인 개방정책과 발달한 항공 연결성 △70%가 40대 미만인 젊은 인구 구성 △높은 소득수준 등으로 2033년까지 연평균 7~8%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해 문체부와 관광공사는 '알람 아라비 코리아' 분기별 정기간담회를 통해 회원사의 중동 소비자 이해를 위한 문화 교육부터 중동 대사관 관계자 등 고위급 교류(네트워킹), 현지 여행업계와의 사업 상담과 홍보 여행(팸투어) 등 고품질(럭셔리) 상품 공동 개발·마케팅 등을 폭넓게 지원했다.
또 회원사 홍보 안내서를 영어와 아랍어로 제작해 국내외에 배포하고 모로코 출신의 구독자 220만 명을 보유한 콘텐츠 창작자 김미소(하라카트 입티삼) 씨와 방송인 야스민 알라딘이 출연한 한국 여행 영상을 의료, 미용(뷰티), 쇼핑, 케이(K)-편의점, 교통 등 5가지 주제로 나눠 아랍어로 제작했다.
지난해 5월에는 알람 아라비 코리아 회원사들이 중동 최대 국제관광박람회인 '아라비안 트래블 마켓'과 카타르 '한국문화의료관광대전'을 참여했다. 11월에는 '카타르 트래블 마켓'과 두바이 '케이-관광로드쇼' 등에 참여해 현지 여행업계는 물론 대중과의 접점도 넓혀왔다.
올해는 '비지트 코리아' 누리집에서 중동 방한객을 대상으로 시설 정보를 반응형 지도로 구현한다. 식당이나 숙소 등에서 자주 묻는 말을 상황에 맞게 쓸 수 있도록 한국어와 아랍어로 제공하는 등 중동 친화적인 관광 서비스 개선에 나선다.
김정훈 문체부 관광정책국장은 "중동 방한객들은 검증된 서비스에 기꺼이 고액의 비용을 지불하는 특성이 있으며 지인 소개 등의 영향력이 매우 높다"며 "앞으로 알람 아라비 코리아를 중동 방한객에게 신뢰할 수 있는 고품질 관광 브랜드로 키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seulbi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