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문창석 기자 = 미국이 모든 수입품에 전면적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국내 e커머스 업계가 '역직구(해외 직접 판매)' 사업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규모가 급격히 커지는 미국 역직구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사안인 만큼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산 수입품에 대한 26% 상호관세 부과 등 국가별 관세율을 담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오는 9일부터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는 26%의 관세가 부과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역직구)은 1조 7225억 원으로 집계됐다. 그중 미국 판매액은 3448억 원으로 중국(9777억 원)에 이어 2위에 해당한다.
다만 업계에선 중국은 온라인 면세점으로 구매해 공항에서 수령하는 규모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에 이를 제외하면 사실상 국내 역직구 시장 1위는 미국이라고 본다. 규모 면에서도 지난해 중국 역직구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7.4% 감소했지만 미국은 41.7% 성장하는 등 미국 역직구 시장은 빠르게 커지는 추세다.
트럼프발(發) 관세 폭탄은 갈수록 커지는 미국 역직구 시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미국 소비자 입장에선 한국의 e커머스 업체에서 구매하는 물품의 가격이 그만큼 비싸지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 제품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선택받았던 이유 중 하나는 '가성비'인데, 이 전략을 쓰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지난해 역직구 판매액이 컸던 △의류(9912억 원) △패션(3037억 원) △음·식료품(515억 원) 등 업종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또 최근 미국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아지는 K-뷰티 상품도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지면서 수출액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대형 e커머스 업체보다는 중소업체 및 소상공인 온라인 플랫폼 셀러 등의 타격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은 역직구 사업의 비중이 대형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고, 규모도 작기에 잠시 유동성이 경색되면 대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일각에선 관세가 부과되더라도 다른 사업과 비교하면 타격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주요 대미 수출 품목인 자동차·반도체·석유제품 등과 달리 의류·식품·화장품 등은 제품의 판매가격 자체가 높지 않고, 관세 비용을 제품가에 일부 전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저가 시장에서 미국을 상대로 역직구 경쟁 관계인 중국보다 관세율 인상 폭이 낮은 만큼 반사이익을 얻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의 경우 이번 조치로 25%의 관세가 적용되지만 중국은 34%가 부과된다. 미국 소비자 입장에선 그만큼 중국 역직구 제품의 가격 인상 압박이 커졌고, 한국 역직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는 얘기다.
e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일부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악재라고 볼 수 있는 가격 인상 이벤트라는 건 분명한 만큼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신중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해외 역직구 관련 관세 부담을 덜 수 있는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themo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