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근욱 기자 = 지난 3월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폭이 4000억 원에 그치며, 전월 4조2000억 원 대비 큰 폭으로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2월 주택담보대출(주담대)를 자극한 신학기 이사 수요가 사라지고, 분기말 부실채권 매각 및 상각에 따른 대출 잔액 감소 효과가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해제 등 부동산 규제가 완화되며 발생한 주담대 승인 물량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며, 4월 이후 가계대출 흐름을 면밀히 살펴보겠다는 입장이다.

9일 금융당국이 발표한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4000억 원 증가에 그쳤다. 주담대는 3조4000억 원 늘었지만, 기타대출이 3조 원 줄면서 전체 증가폭을 제한했다. 특히 신용대출이 전월 대비 1조2000억 원 줄어들며 감소세로 전환됐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2월 3조3000억 원에서 3월 1조4000억 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됐다. 같은 기간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9000억 원 증가에서 1조 원 감소로 전환됐다.
은행권 세부 내역을 보면, 정책성 대출은 2조8000억 원에서 1조5000억 원으로 증가폭이 줄었고, 은행 자체 주담대는 6000억 원에서 7000억 원으로 소폭 확대됐다. 반면,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2000억 원에서 9000억 원으로 전월 대비 감소폭이 커졌다.
제2금융권 내에서 상호금융권은 8000억 원에서 3000억 원으로 증가폭이 축소됐고, 저축은행은 300억 원에서 2000억 원 감소로 감소폭이 확대됐다. 여전사(카드·캐피탈사 등)는 3월에만 9000억 원이 줄며 감소세로 전환됐고, 보험사는 1000억 원 수준의 감소를 전월과 비슷하게 유지했다.
이날 오전 금융위원회는 관계부처와 함께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3월 가계대출 동향과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2월 신학기 이사 수요로 확대됐던 주담대 수요가 3월 들어 안정세를 보였고, 부실채권 매·상각 같은 일회성 요인도 대출 증가폭 축소에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안정세를 보이고는 있으나, 3월 부동산 규제 재시행 이전의 활발했던 주택거래는 시차를 두고 통계에 반영될 수 있어 4월 이후가 관리의 분수령이 될 것이다"고 밝혔다. 참석자들도 강남 3구 등 서울 주요 지역의 부동산 시장 동향과 4~5월 중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날 회의에서는 △5월 전세자금대출 보증비율 인하(100%→90%) △6월 소득심사 강화 △7월 3단계 스트레스 DSR 도입 등 주요 대출 제도의 시행 준비 상황도 점검했다. 금융당국은 제도 도입 초기 혼선 방지를 위해 창구 직원 교육과 고객 안내를 강화하고, 금융권의 시스템 개발 및 시범운영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권 사무처장은 "2분기에도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대출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권이 월별·분기별 경영목표에 맞춰 가계대출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며 "장기·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상품 확대, 모든 가계대출에 대한 소득자료 관리 강화, 부동산 연계대출 인프라 구축 등 2025년 가계부채 관리방안에서 제시한 주요 과제도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ukgeu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