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에 '밸류업(기업가치제고)'의 선두주자로 꼽혔던 은행주가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1분기 실적도 '역대급'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지만 향후 시장 상황이 녹록지 않아 주가 회복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13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의하면 지난 2일부터 11일까지 국내 4대 금융지주의 시가총액의 합은 83조 8652억원에서 78조 4746억원으로 약 5조 3906억 원 감소했다.
미국 정부가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한 이후로 불과 열흘 만에 시가총액의 6.43%가 사라진 것이다. 동기간 코스피 지수는 2505.86에서 2432.72로 2.92% 떨어졌다.
금융지주별로 보면 하나금융이 -8.58%로 낙폭률이 가장 컸고 이어 KB금융 -6.58% 신한금융 -5.34% 우리금융 -5.25% 순이었다.
그나마 이는 지난 7일과 8일 상호관세 발효를 앞두고 급락했던 증시가 일부 반등하면서 회복된 것이다. 8일 기준 4대 금융지주의 시가총액은 74조 9112억 원으로 2일과 비교하면 약 9조원 가까운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다만 이달 말 4대 금융지주가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고 호실적이 예상되면서 주가가 반등할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1일 기준 4대 금융지주의 1분기 예상 당기순이익은 4조 8858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이었던 2023년 1분기(4조 9015억원)에 근접할 전망이다.
하지만 미국발 상호관세 이슈가 경제 전반에 충격을 주면서 금융지주의 주요 계열사인 은행의 수익성과 건전성을 악화시킬 가능성이 높아 주가 반등에는 장애물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경기 상황이 악화되면 은행은 시장에 내준 대출의 건전성이 악화될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대손충당금을 높게 쌓을 수밖에 없다. 대손비용이 증가하면 순이익 하락으로 이어진다.
은행들이 대출을 내준 기업들의 상황이 악화되면 위험가중자산이 증가하면서 금융지주의 자본비율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기업들의 자금 사정 악화로 신용도가 내려가면 해당 기업 대출의 위험가중치가 높아지고 이는 은행의 위험가중자산 증가로 이어지는 것이다.
자본비율은 은행이 가진 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서 계산하는데 분모가 커지면 자본비율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 자본비율은 금융사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자본비율이 낮아지면 주주환원 여력도 줄어들게 된다. 역시 투자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최근 정부와 금융당국이 '위기 산업에 대한 금융권의 지원을 늘려야 한다'며 압박하고 있어 기업대출이 본래 계획보다 확대된다면 위험가중자산이 지주들의 예상 범위를 넘어설 수도 있다.
다만 금융지주 관계자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선제적인 충당금 적립 자본비율 관리를 해왔기 때문에 '충격이 크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한 금융지주 관계자는 "본원적 수익창출력 개선을 통해 축적한 자본과 이를 기반한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왔다"라며 "지속가능한 기업가치제고를 위해 안정적으로 자본적정성을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potgu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