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뉴스1) 김유승 기자 =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0%로 1.0%포인트(p) 대폭 하향한 것은 미국발 관세 전쟁과 국내의 12·3 비상계엄 영향을 동시에 반영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전망 당시엔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비상계엄이 경제에 끼치는 파급 효과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으나, 4월에는 이를 관세 영향과 함께 성장 전망에 반영하다 보니 전망치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는 게 IMF 측 설명이다.
라울 아난드 IMF 한국 미션팀장은 23일(현지시각) IMF의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 배경과 관련해 출장 기자단에 이같이 밝혔다.
IMF는 매년 4월과 10월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주 전망을 발표하고, 1월과 7월에는 주요 30개국을 대상으로 한 수정 전망을 내놓는다.
IMF는 지난 22일 발표한 4월 세계경제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성장률 전망을 2.0%(1월 발표)에서 1.0%로 3개월 만에 대폭 낮췄다.
IMF가 1월 제시한 2% 성장 전망은 1% 중반 수준인 주요 기관 전망 대비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번 하향으로 인해 주요 기관 대비 전망치가 크게 낮아지게 됐다.
아난드 팀장은 "4월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은 최근 관세 조치의 영향뿐만 아니라 작년 말 이후 국내 상황도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월 전망에는 작년 12월 발생한 비상계엄의 경제 파급 영향을 제대로 담지 못하다 4월 전망에 적극적으로 반영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IMF가 이달 한국의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한 것을 평가하려면 지난 1월 전망이 11월 전망치에서 변동이 없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1월 (성장 전망) 업데이트는 정치적 전개로 인한 (경제) 하방 리스크 증가를 인정했다"면서도 "데이터 제한 때문에 12월 이벤트의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단기 거시경제적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김성욱 IMF 이사도 기자들과 만나 한국 성장 전망 하향 조정과 관련해 "2.0%라는 숫자는 지난해 10월 숫자"라며 "(1.0%는) 그 이후 일어난 국내 상황 변화,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실물경제 금융시장의 영향과 올해 4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까지 다 합쳐져서 나온 숫자"라고 밝혔다.
다만 IMF의 이런 전망에는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이후 90일간의 유예 조치는 반영되지 않았다. 향후 우리나라와 미국 간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율이 바뀌면 얼마든 변동 가능성이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 시간으로 이날 오후 9시부터 '2+2 통상협의'(재무·통상 수장 회담)를 시작으로 미국과 통상 협의 첫발을 뗄 예정이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