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의 내수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기여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23일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 2.0% 중 내수 기여도는 0.1%포인트(p)에 그쳤다.
분기별로 보면, 지난해 1분기 0.5%p 수준이었던 내수 기여도는 2분기 -0.1%p로 하락했다. 이어 3분기에는 0.8%p를 기록했다가 4분기에는 -0.2%p로 하락 전환했다.
이에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내수 기여도 최하위를 기록했다. OECD 경제 규모 상위 20개국 중 지난해 연간 성장률과 부문별 지출 기여도가 공개된 10개국의 평균 내수 기여도는 1.6%p였다.
인도네시아가 5.5%p로 가장 높았고, 스페인(2.8%p), 영국(2.4%p), 스위스(1.7%p), 캐나다(1.5%p) 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네덜란드(0.8%p), 이탈리아(0.4%p), 독일·프랑스(각 0.3%p)보다도 낮았다.
지난해 GDP 성장률은 수출이 견인했다. 한국의 순수출(수출-수입) 기여도는 1.9%p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수출 기여도는 2.9%p, 수입 기여도는 -1.0%p로 집계됐다.
순수출 기여도는 2위인 프랑스(0.9%p)의 두 배를 넘었고, 이탈리아(0.4%p), 스페인(0.3%p), 네덜란드(0.1%p), 캐나다(0.0%p) 등과도 큰 차이를 보였다.
올해 상황은 더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내수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의 관세 정책 여파로 수출 감소가 예상되며 1분기 역성장 우려도 커지고 있다.
임 의원은 "급격한 내수 경기 위축이 세계적으로도 심각한 수준"이라며 "일시적으로 회복한 수출도 미국 상호관세로 인해 타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phlox@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