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 계획이 당초 제시한 10조 원에서 12조 원으로 늘어난 것은 산불 재해 대책과 인공지능(AI)·민생 예산과 관련한 여야의 일치된 요구가 있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여야의 목소리를 반영해 이번 추경안에서 산불 재해대책비를 기존 5000억 원에서 1조 원으로 2배 높였으며, AI 분야에는 1조 8000억 원을 추가 투입하기로 하는 등 2조 증액된 계획을 내놨다.
16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15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회의를 열고 12조 원 규모의 필수 추경 편성 계획을 발표했다.
분야별 규모는 △재해·재난 대응 3조 원 이상 △통상·AI 경쟁력 강화 4조 원 이상 △민생 지원 4조 원 이상이다. 이는 당초 기재부가 예고한 10조 원 규모보다 2조 원 늘어난 규모다.
추경 규모가 당초보다 커진 것은 산불 대책과 AI 경쟁력, 민생 지원을 둘러싼 여야의 일치된 요구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뉴스1과 통화에서 "여야에서 규모를 더 늘려달라고 요구한 부분들이 있었다"며 "여야 모두 AI 경쟁력 강화와 관련한 예산을 얘기했고, 산불 피해도 여야 공통으로 피해 지원을 충분히 해야 한다고 했다. 최근 민생이 어렵다는 얘기가 많아 이와 관련한 요구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생 회복 지원금처럼 한쪽만 주장하는 것들은 담지 못했지만, 공통으로 요구하는 것들은 최대한 잡아보려고 했다"고 덧붙였다.
올해 감액 예산안이 통과된 만큼 관계부처의 증액 요구도 적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 국회에서 증액되지 않은 부분들이 많아 각 부처에서도 하고 싶은 사업들은 많았다"며 "저희가 추경 목적에 맞는 사업들로 최대한 추렸다"고 했다.
대표적으로 이번 추경안에는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재해대책비가 기존 5000억 원에서 1조 원 이상으로 2배가량 증액 반영됐다.
AI 분야에는 1조 8000억 원을 추가 투입해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 장을 확보하고, AI혁신펀드에 2000억 원을 들이기로 했다.
민생과 관련해선 저소득층 청년과 최저 신용자 등의 생활 안정을 위한 정책자금 공급을 기존보다 2000억 원 확대하기로 했다. 소상공인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연 50만 원 수준의 크레딧 사업을 신설한 부분도 눈에 띈다.
정부는 이와 같은 증액 추경안을 마련해 조만간 국회에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최 부총리는 "이번 추경은 무엇보다 타이밍이 중요하다"며 "추경안이 최대한 이른 시간 내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의 초당적 협조와 처리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