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원화로 결제한 수출입 비중 '감소'…위안화 수입은 '최고'

원화 수출, 전체의 2.7%로 0.2%p↓…자동차 수출 둔화 영향
대미 수출 호조 등에 美 달러 수출 비중 1.4%p 늘어 84.5%

(자료사진) /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자료사진) /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지난해 원화로 결제한 수출입 대금 비중이 감소했다. 수출입에서 원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였던 1년 전과 대비된다. 원화를 많이 주고받는 승용차 수출이 1년 새 둔화한 영향이 컸다.

반대로 위안화로 결제한 수입 대금 비중은 6년 연속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비중을 기록했다. 반도체와 철강, 자동차 부품 등에서 위안화 결제 수입이 늘어난 결과였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4년 결제통화별 수출입'에 따르면 지난해 미 달러화 수출 결제 비중은 84.5%로 전년 대비 1.4%포인트(p) 축소됐다.

김성준 한은 국제수지팀장은 "달러 결제 비중이 높은 반도체(43.1%), 컴퓨터 주변기기(81.6%), 선박(23.3%) 등을 중심으로 달러 결제 수출이 증가(10.0%)한 영향"이라며 "작년의 경우 대미 수출도 호황이었다"고 말했다.

통상적으로 반도체, 선박, 컴퓨터 주변기기 등의 수출은 극소량을 제외하고 달러로 거래되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지난해 이들 업종의 수출 가운데 달러 결제 비중은 △반도체 98.5% △선박 99.2% △컴퓨터 주변기기 93.7%에 달했다.

원화 결제 수출 비중은 달러에 비해 매우 낮은 2.7%로 집계됐다.

김 팀장은 "상대적으로 원화 결제 비중이 높은 승용차 수출 증가율(6.0%)이 전체 수출 증가율(8.1%)을 하회했다"며 "기계류·정밀기기(-14.7%) 등의 수출 감소도 원화 결제 수출 비중 축소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달러 다음으로 수출 결제 비중이 큰 유로화는 전체의 6.0%를 차지해 전년(6.8%)보다 0.8%p 뒷걸음쳤다. 승용차(-21.2%), 기계류·정밀기기(-4.3%) 등에서 유로화 결제 수출이 감소했기 때문이었다.

지난 2023년부터 원화보다 수출 결제 비중이 낮아진 엔화의 경우 지난해 전년 대비 0.3%p 줄어든 2.0%로 나타나 역대 최저 수준을 경신했다. 원화보다 수출 결제 비중이 낮은 상태가 2년 연속으로 이어졌다.

엔화 결제가 주로 이뤄지는 일본에 대한 수출이 2011년 396억8000만 달러 최대치 경신 이후 작년 296억1000만 달러로 급감한 영향이 컸다. 특히 기계류·정밀기기(-17.8%), 철강 제품(-6.0%) 등에서 엔화 결제 수출이 감소했다.

위안화 수출 비중도 축소돼 1.5%에 그쳤다. 전년 대비 0.2%p 감소했다.

본문 이미지 - (한은 제공)
(한은 제공)

수입의 경우, 수출과 대조적으로 미 달러화 비중은 줄고 위안화의 위세는 올랐다.

지난해 달러 결제 수입 비중은 80.3%로 전년 대비 0.2%p 감소했다.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해 대부분 달러로 오가는 원자재 수입(-6.7%)이 축소된 결과였다. 원유와 가스 수입은 달러 결제가 100%에 달한다.

원화로 결제한 수입은 전체의 6.3%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0.3%p 뒷걸음쳤다. 승용차(-18.4%), 의약품(-5.7%) 중심으로 원화 결제 수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엔화 결제 수입 비중은 엔화 수출과 마찬가지로 역대 최소치(3.8→3.7%)를 다시 썼다. 일본에 대한 수입은 2011년 683억2000만 달러 정점을 찍고 작년 475억9000만 달러로 뒷걸음쳤다.

위안화 수입 비중은 6년 연속 증가해 역대 최대 수준을 경신하면서 엔화와 대조됐다. 작년 위안 결제 수입은 전체의 3.1%로, 전년보다 0.7%p 비교적 크게 늘어났다.

김 팀장은 "중국 정부가 위안화의 국제화를 노력한 데다 중국과의 교역이 특히 수입 위주로 많이 늘어난 영향이 컸다"며 "다만 절대적인 위안화 결제 비중은 아직은 달러를 압도적으로 밑돈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의 중국에 대한 수출은 2010년 1168억4000만 달러에서 2024년 1330억1000만 달러로 증가, 수입은 같은 기간 715억7000만 달러에서 1398억8000만 달러로 증가했다.

icef08@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