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 글로벌 6위 '컨' 선사 ONE 임원진 방문…협력방안 논의

부산항 처리 물동량 2위 고객…한해 처리실적 인천항 전체 물동량과 유사
Port-i 데이터 공유·운영 연계…환적 처리 효율성·정시성 강화

본문 이미지 -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왼쪽)과 히로키 츠지 ONE 부사장(부산항만공사 제공)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왼쪽)과 히로키 츠지 ONE 부사장(부산항만공사 제공)

(서울=뉴스1) 백승철 기자 =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지난 7일 히로키 츠지 ONE(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 부사장이 부산항만공사를 방문해 부산항과 ONE의 미래 발전 계획을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10일 밝혔다.

ONE는 2018년 일본 3대 해운사(NYK, MOL, K-Line)의 컨테이너 부문을 통합해 탄생한 총 253척의 선박을 운영하는 글로벌 6위 선사이다. 지난해 부산항 처리 물동량이 2위인 주요 고객으로, ONE의 한해 부산항 처리실적이 대한민국 2위 항만인 인천항의 전체 물동량(356만TEU)과 유사한 수준일 정도로 많은 화물을 매년 처리하고 있다.

BPA는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실시간 환적 모니터링 시스템인 '부산항 Port-i' 활성화를 위해 ONE와의 디지털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Port-i는 선사들이 부산항에서 환적 화물을 쉽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시스템으로, 선박·화물 실시간 모니터링과 이상 징후 탐지, 전 터미널의 통합 선석 운영 현황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BPA는 ONE와 Port-i의 데이터 공유와 운영 연계를 통해 환적 처리의 효율성과 정시성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부산항에서의 환적 처리 과정에 대한 가시성(Visibility)을 확보하고 선박 적재율 또한 높일 수 있게 되어, 부산항의 신뢰도와 환적화물 증대가 기대하고 있다.

히로키 츠지 ONE 부사장은 부산항 Port-i 시스템 운영에 적극 참여할 것임을 밝히고, 부산항 환적 효율성 개선을 위해 디지털 솔루션을 도입한 BPA에 감사함을 표시했다.

한편 ONE는 어려운 글로벌 해운시장 상황 속에서도 추진 중인 장기 성장 전략을 소개했다. ONE는 선대 확충과 터미널 인프라 투자 등 대규모 계획을 마련해 미래에 대비하고 있으며, 최근 2030년까지 약 200억 달러(한화 약 29조원)를 투자해 친환경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 및 전 세계 주요 거점 터미널 투자를 추진하겠다는 확장안을 발표했다.

BPA는 이번 ONE 경영진 방문을 계기로 글로벌 선사들과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송상근 BPA 사장은 "앞으로도 고객사와의 소통 강화와 혁신적 항만 서비스 제공으로 부산항의 위상을 한층 높이겠다"고 말했다.

bsc9@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