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미래 산업의 핵심 요소로 인공지능(AI)이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AI 인재 확보와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정부와 산업계가 한 자리에 모였다.
김민석 고용노동부 차관은 15일 서울 용산구 트웰브랩스에서 열린 초거대AI추진협의회 초청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는 인공지능(AI)으로 열리는 새로운 시대를 주제로 개최됐으며 김 차관과 서성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 부회장과 이재성 트웰브랩스 대표이사, 손지윤 네이버 전무, 정상원 이스트소프트 대표이사(KOSA 인력양성 및 일자리창출위원회 위원장) 등 12명이 참석했다.
AI 기업들은 간담회에서 우수한 인공지능(AI) 인재 확보가 어려워 양질의 교육·훈련과 우수 인재를 국내기업으로 유입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각 기업은 창의적인 업무의 특성에 맞는 일하는 방식의 다양화를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연구개발인력은 몰입도 높은 근로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서성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올해에만 1만명 이상의 인공지능(AI) 인재 부족이 예상된다"면서 "현장 중심 실전형 인재 양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고, AI 도입으로 기존 직무 변화 대응을 위한 재직자 전환교육도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민석 고용부 차관은 "AI 대전환 시대를 맞이한 지금 AI 기술은 국가 역량과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동력"이라면서 "우리나라가 AI 경쟁에서 앞서나가고 세계적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기술혁신을 위한 기업의 역할과 함께 정부의 다양한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 차관은 "고용부도 AI 인재 양성을 위한 훈련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오늘 논의된 의견을 토대로 AI 기업의 애로 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freshness41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