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시대' 국민 정신건강 위협…"집단 공황, 불안 확산 우려"

"과도한 뉴스 시청 오히려 해로울 수 있어"
국가 차원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 구축 시급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15일 오전 광주 송정역에서 시민들이 윤 대통령의 담화를 시청하고 있다. 2025.1.15/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체포된 15일 오전 광주 송정역에서 시민들이 윤 대통령의 담화를 시청하고 있다. 2025.1.15/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최근 사회의 극심한 정치 혼란과 경제 불안정으로 국민들의 정신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국민들의 이런 스트레스와 정신적 고통이 급증할수록 심각한 사회적 불안과 집단 공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계엄과 탄핵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은 사회, 심리적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키고, 정치적 불안정이 계속되면 국민들은 불안, 분노, 무기력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창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는 16일 "정치적 갈등이 심화하면 사람들 사이의 신뢰가 떨어지면서 감정적 불편감과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게 된다"며 "이런 불안정성이 지속되면 정신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특히 정치적 양극화는 계층 간 갈등을 심화시키고 견해 차이가 극단적으로 나뉘면서 나와 의견이 다른 타인에 대한 불신과 멸시, 증오를 증폭시킨다. 한 교수는 "단순한 이념 차이를 넘어 사람들 간의 심리적 거리감을 벌어지게 하고 사회적 통합을 어렵게 만든다"고 했다.

그 와중에 경제적 어려움마저 심화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불안과 울분이 증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불안과 경제적 위기가 계속될수록 국민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수준을 넘어 집단 공황과 같은 사회적 불안으로 확산할 위험이 크다고 우려했다.

집단 공황은 사람들이 공동체의 안정성을 상실하고 미래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극단적인 수준으로 확산하는 현상이다.

한 교수는 "집단적인 불안은 정치적·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더욱 심화하고 사회적 회복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국 사회적 분열과 신뢰 상실이 가속화되고 극단적 사회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경제적 불안정은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증대시키고 지속적인 긴장 상태를 만들어 불안과 우울을 유발한다. 실직, 부채, 생활고 등 실질적인 문제뿐 아니라 사람들에게 끊임없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안겨준다.

한 교수는 "정치적 불안과 사회·경제적 위기가 동시에 발생하면 국민들의 정신적 회복력이 크게 떨어지고 트라우마로 발전할 수 있다"며 "장기적인 스트레스는 급성 불안장애나 우울증, 심지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발전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본문 이미지 - 한창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제공)
한창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교수(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제공)

한 교수는 또 "스트레스 반응은 누구에게나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라며 "감정을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하는 게 중요하며 무엇보다 의견은 서로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게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감정은 억누르거나 무시하는 것보다는 인정하고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게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 이와 함께 뉴스는 중요한 정보 제공 수단이지만, 전문가들은 계속 뉴스나 TV를 보는 것이 항상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과도한 뉴스 시청은 자율신경계를 자극해 불안과 긴장감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특히 밤에 뉴스를 시청하면 신경계가 계속 흥분 상태에 놓여 수면을 방해하고 이로 인한 스트레스가 더욱 커질 수 있다.

한 교수는 "정신건강은 단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민의 정신적 고통을 예방하고 회복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국가 차원의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 구축은 시급한 과제"라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통해 국민들이 필요할 때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sj@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