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은 기자 = 글로벌 제약사들의 '먹는 비만약' 경쟁이 본격화한 가운데 화이자가 경구용 비만 치료제 개발을 전격 중단하며 시장에서 한발 물러섰다. 이에 따라 업계의 관심은 이달 중 발표 예정인 일라이 릴리의 '오포글리프론' 임상 3상 결과에 집중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화이자는 지난 14일(현지시간) GLP-1 계열 경구용 비만 치료제 '다누글리프론'의 임상 개발을 공식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2023년에 이어 두 번째 임상 중단이다.
화이자는 2023년 12월 1일 2회 복용 제형의 다누글리프론이 임상 2b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메스꺼움·구토·설사 등 부작용 발생률이 높아 투약 포기자가 속출하면서 임상 3상 진입을 중단한 바 있다.
이후 화이자는 복약 편의성을 개선한 1일 1회 제형으로 전략을 수정, 다시 한번 먹는 비만 치료제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러나 이번 임상에서도 약물 유발 간 손상 가능성이 관찰되면서 결국 개발을 포기하게 됐다.

화이자의 중도 이탈로 '먹는 비만약' 시장에서도 일라이 릴리와 노보 노디스크 간 양자 구도가 뚜렷해지고 있다. 양사는 그간 주사제 기반 GLP-1 치료제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으며, 이번에는 경구제 시장으로 그 전장이 옮겨지고 있는 모양새다.
현재로서는 일라이 릴리가 한발 앞서고 있다. 일라이 릴리는 경구용 후보물질 오포글리프론의 임상 3상 중간 결과를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오포글리프론은 세계 최초의 비펩타이드 기반 GLP-1 경구제로, 하루 한 번 복용만으로도 주사제 수준의 체중 감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혁신 신약이다.
오포글리프론은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어 환자의 복약 순응도 측면에서도 강점을 갖는다. 임상 2상에서는 최대 14.7%의 체중 감소를 기록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번 임상 3상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올 경우 릴리는 2026년 출시를 목표로 경구 GLP-1 시장의 독주 체제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노보 노디스크도 일라이 릴리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는 '세마글루타이드'를 기반으로 한 고용량 경구 제형의 임상 3상 중이다. 다만 고용량 경구 세마글루타이드는 공복 상태에서 복용해야 하고, 일정 시간 금식이 필요한 복약 방식으로 인해 순응도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derlan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