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조유리 기자 =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정보 데이터 결합을 통해 기존 감염병뿐 아니라 만성질환으로 분야를 넓혀 치료 중심 정책에서 예방 중심 정책으로 전환을 추진한다.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1일 건보공단 본부에서 건강정보 빅데이터의 효과적인 연계와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고 밝혔다.
먼저 인플루엔자 유행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두 기관은 감염병 감시부터 백신 효과 평가와 의료이용 현황, 질병 부담까지 폭넓은 내용을 담은 정기보고서를 함께 발간할 예정이다. 이 보고서는 예방접종 정책과 건강보험 제도 개선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또한 X선 촬영, CT 등 건강검진이나 각종 검사에 사용되는 의료방사선의 노출량을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바탕으로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민들에게 보다 안전한 검사 환경을 만들기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할 계획이다.
국가건강검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건강검진 결과와 진료 데이터를 연계해 분석한다. 각 검진 항목이 실제로 질병의 예방과 조기 발견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하고, 의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검진제도 개선 방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인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정보(KOCOSS)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데이터를 건강보험 빅데이터와 연계해 유전정보·생활 습관·환경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이 과정을 통해 질병의 조기진단이나 개인 맞춤형 진료 지침 수립에 필요한 근거를 마련할 예정이다.
두 기관은 지난 2021년 4월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코로나19 빅데이터(K-COV-N)'를 공동으로 구축·개방해 질병청의 코로나19 확진자와 예방접종 정보를 건보공단의 건강보험 자료와 결합하는 등 현재까지 총 36건의 연구성과를 내며 협력해 왔다.
또한 2022년부터 협력해 온 결핵 빅데이터(K-TB-N)는 오는 9월 개방을 앞둬 결핵 퇴치 가속화를 위한 역학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기석 건보공단 이사장은 "기존 코로나19 중심 데이터 분석에서 협력범위가 확대된 만큼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 기반이 질적으로 강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향후 팬데믹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도 더 빠르고 과학적인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ur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