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300명 이상 집단감염 2건 이하, 환자 6000명 이하"

식약처, 범정부 식중독대책협의체 회의 개최

지난해 8월 29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감염병연구부 수인성질환팀 직원이 식중독균 배양검사를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지난해 8월 29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감염병연구부 수인성질환팀 직원이 식중독균 배양검사를 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조유리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7일 식약처 대회의실에서 34개 관계 부처와 식중독대책협의체 회의를 열고 식중독 관리 강화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예방관리 대책을 논의했다.

정부는 올해 '300명 이상의 대형 식중독 2건 이하, 환자 6천명 이하'를 식중독 예방 관리 목표로 한다. 살모넬라, 노로바이러스, 김치, 운반 음식, 국제행사 등 5개 분야의 생산·제조·유통단계에 대한 집중관리로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고 확산 길목을 차단하는 등 사전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먼저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달걀 생산 농가부터 수거·검사를 강화하고 유통단계에는 살모넬라 오염 위험이 높은 노계 산란 달걀과 솔세척 달걀의 살모넬라 검사도 실시한다.

또 영유아 시설의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유치원·어린이집총연합회와 긴밀히 협조해 시설 내 문고리 등 사전 환경 검사를 실시하고 유증상자 발생 시 구토물 처리 등 조치 요령을 실습하는 체험 행사를 운영한다.

생식용 굴의 신속한 유통 차단을 위해 소매시장뿐만 아니라 도매시장에서 수거·검사를 실시하고 노로바이러스 검출 시 생식용으로 판매되지 않도록 조치한다.

김치 제조 단계에서 미생물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조업체가 절임 배추 등 원재료 소독 공정을 추가·운영하도록 한다. 김치 제조에 참여하는 종업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해 발열, 설사 등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 제조 작업에서 배제하도록 선행요건을 강화한다.

학교 급식소에 운반 음식을 납품하는 식품제조·가공업체 등에 대한 위생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산업체 등에 대량 조리 식품을 판매하는 배달 음식점도 지자체와 합동점검을 실시하는 등 집중적으로 관리할 방침이다.

아울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 등 국제행사 개최 시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식음료 안전관리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사전점검, 일일상황점검, 식중독 검사 차량 배치·신속 검사 등 안전관리에 착수한다.

오유경 처장은 "최근 기후변화, 급식·외식문화 확산 등의 영향으로 예상치 못한 식중독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사회환경 변화를 반영한 식중독 예방·관리가 필요하다"며 "효과적인 식중독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해 범부처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ur1@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