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정점' 지났지만 최대치 수준…"서둘러 백신 접종해야"

7~12세 소아환자 가장 많아…병원급 입원환자 10.8%↑

15일 오전 서울 중구 을지로입구역에서 열린 호흡기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마스크 자율착용 실천 대시민 캠페인'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시민들에게 마스크를 나눠주고 있다. 2025.1.15/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15일 오전 서울 중구 을지로입구역에서 열린 호흡기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마스크 자율착용 실천 대시민 캠페인'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시민들에게 마스크를 나눠주고 있다. 2025.1.15/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규빈 기자 = 인플루엔자(독감) 환자가 지난주보다 감소했지만 여전히 유행 수준이 2016년 이래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방역당국은 지금이라도 서둘러 예방 접종을 하라고 당부했다.

16일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의원급(300개소) 독감 표본감시 결과 2025년 2주 차(1월5∼11일) 독감 의심 환자는 1000명 당 86.1명으로 전주 대비 13.7% 감소했다.

이에 따라 유행 정점은 다소 지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2016년 이후 예년 정점과 비교 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7∼12세 환자가 인구 1000명당 149.5명으로 가장 많았다. 13∼18세 141.5명, 19∼49세 110명, 1∼6세 83.4명 등이다.

병원급(220개소) 입원환자 표본감시 결과 올해 2주 차 독감 입원환자는 1627명으로 전주(1468명) 대비 10.8% 증가했다. 다만 이에 대해 질병청은 "이는 외래환자 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추세"라며 "코로나19 이전 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했다.

호흡기바이러스 병원체 감시 결과 2주차 기준 인플루엔자 검출률은 55.0%로 지난 주 62.9% 대비 7.9%p 감소했다. 바이러스는 A(H1N1)pdm09와 A(H3N2) 2가지 유형이 동시에 유행하고 있다.

유행 중인 독감 바이러스는 이번 절기 백신주와 매우 유사해 백신 접종을 통해 충분한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절기 독감 국가예방접종은 독감 감염 시 중증화 위험이 큰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시행 중이다. 백신 접종이 가능한 지정의료기관과 보건소는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올해 1주 차를 유행 정점으로 독감 환자 수가 감소하고 있으나 아직도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서둘러 백신 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외출 전후 손씻기, 기침예절, 호흡기 증상시 마스크 착용, 2시간마다 10분 이상 실내 환기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 수칙을 각별히 준수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했다.

rn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