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공수처 "대통령실 관계자 소환 계획 아직 없다…사실관계 파악 우선"

김계환 3차 소환 가능성…혐의자 축소 경위 파악 주력

(과천=뉴스1) 황두현 기자 | 2024-06-04 13:50 송고 | 2024-06-04 14:20 최종수정
공수처 전경
공수처 전경

'순직 해병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대통령실 관계자 소환 계획 여부는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공수처 관계자는 4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대통령실 관계자 소환 계획을 묻는 질문에 "아직 없다"고 대답했다.
이 관계자는 국방부 이종섭 전 장관과 신범철 전 차관의 소환 계획 역시 없다면서 다만 이미 두 차례 조사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의 소환에는 "일정을 조율하지 않고 있다"면서도 "가능성은 다 있다"며 여운을 남겼다.

해병대원 사건에 대한 대통령실의 개입 의혹이 불거지는 가운데 공수처는 사실관계를 파악하는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수사를 다져가겠다는 입장이다.

공수처 관계자는 "사실관계를 다 끌어모으는 상황"이라며 "모든 사실관계를 모은 이후 법리 검토를 해야 하는데 아직 그 단계(법리 검토)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수사라는 게 하다 보면 원하는 내용이 나오지 않을 수 있고 알지 못하는 내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전 단계로 넘어갈 수도 있다"며 "현재 조사 상황 등에 따라 좌우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공수처는 지난해 국방부 조사본부가 해병대 수사단이 경북경찰청에 이첩한 수사보고서를 회수해 재조사하면서 당초 8명으로 특정된 혐의자가 2명으로 축소된 배경을 파악하고 있다.

공수처는 전날 국방부 조사본부 재조사에 관여한 김 모 전 수사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두 번째 조사한 데 이어 또 다른 관계인을 부를 예정이다. 공수처는 올해 1월 국방부를 압수수색하고 3~4월 국방부 조사본부 태스크포스(TF)를 방문해 출장 면담 형식으로 기초조사를 하기도 했다.

공수처 관계자는 "계속 진행이 되고 있기 때문에 그쪽(조사본부)에 대한 참고인 조사는 계속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ausure@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