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 '찾아가는 기술특례상장 설명·상담로드쇼' 개최

21~23일 서울·오송서 열려…제도·사례 설명에 질의응답 세션 진행

22일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진행된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설명회 전경.(한국거래소 제공)
22일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진행된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설명회 전경.(한국거래소 제공)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한국거래소는 이달 21일부터 23일까지 총 3일간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과 공동으로 첨단기술기업 발굴 및 상장지원을 위한 '주요 업권별 협회 및 핵심 기술기업 대상 찾아가는 기술특례상장 설명·상담 로드쇼'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거래소는 서울 강남과 여의도에서 각각 열린 21일과 22일 설명회에서 기술특례상장 제도의 세부 트랙, 업종 특성(4차 산업, 바이오산업)을 감안한 중점 심사사항 및 기술특례 상장 성공사례, 표준 기술평가모델의 주요 내용 등에 대해 안내했다.

23일에는 충북 오송 바이오클러스터를 찾아 차세대 면역항암제·인공각막 등 핵심 기술 보유 바이오기업의 임직원 100여명을 대상으로 바이오·의료기업 맞춤형 제도와 바이오 분야 상장사례를 소개했다.

이날 설명회에서는 투자은행(IB), 벤처캐피탈(VC), 기술평가전문기관 등 기술기업 상장 전 과정에 걸친 관계기관의 현직 전문가들이 기술특례 상장 준비사항, 투자유치 전략, 기술평가전략 등에 대해서도 안내했다.

삼성증권은 최근 성공적으로 상장한 바이오기업 및 의료기기 기업의 사례를 들어 기술특례 상장을 위해 필요한 실무 준비사항에 대해 설명했고, 한국투자파트너스는 바이오기업의 투자유치에 있어 핵심 파이프라인의 개발 시기를 당초 계획대로 지켜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3일간 진행된 설명회에서는 제도·사례 설명 이외에도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 세션을 통해 기술기업 관계자들이 실제 기술특례 상장을 준비하면서 겪은 애로사항 및 향후 제도개선 방향과 관련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됐다.

본문 이미지 - 22일 홍순욱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거래소 제공)
22일 홍순욱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거래소 제공)

홍순욱 거래소 코스닥시장 본부장은 "코스닥은 바이오·딥테크기업 등 유망기술 기업이 코스닥 상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기술특례 상장 제도의 보완 필요사항을 개선하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수영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은 "우리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핵심 기술기업을 선별하고 성장자금을 지원해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의 확고한 의지이며, 상장 절차상 일부 한계로 인해 '옥'(玉)이 사장되지 않도록 제도운영상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상장은 단순히 기존 투자자들이 투자자금을 회수하게끔 하는 수단이 아니라 기업이라는 배에 일반 국민을 승객으로 받아 더 큰 바다로 나가는 출발점인 만큼, 그에 걸맞는 책임감을 바탕으로 투자자 보호가 이뤄져야 기업의 성장동력 확보와 투자성과 확대라는 자본시장의 선순환이 정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설명회에 참석한 의료기기 업체 한 관계자는 "전문가회의 등 심사과정에서 경쟁업체 전문가의 참여에 따른 피해 발생을 우려했으나, 이번 설명회에서 기피신청 제도 등을 통해 그러한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는 답변을 받아 안심했다"고 말했다. 바이오헬스케어 업체 한 관계자는 "올해 도입된 표준 기술평가 모델 적용시 기존보다 엄격한 잣대로 평가받을 것이라는 염려가 이번 설명회를 통해 많이 해소됐으며, 향후에도 이러한 소통의 기회가 많이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다음 '찾아가는 기술특례상장 로드쇼'는 반도체·소부장 기업을 대상으로 30일 용인특례시에서 열릴 예정이다.

lgir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