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오늘부터 북한 정찰위성 '깜깜이 발사' 국면…대북 정찰·감시 능력 시험대

북한 '비공개 발사' 의지…한미 당국 사전 대응 난이도 높아져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재발사 논의될 수도…추가 발사 시점 주목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2023-06-12 10:36 송고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국가우주개발국의 군사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시험 진행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평양 노동신문=뉴스1)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지난해 12월 공개한 국가우주개발국의 군사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중요시험 진행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북한이 첫 발사에 실패한 군사정찰위성의 '2차 발사' 시한을 밝히지 않겠다고 선언하며 한동안 '깜깜이 발사 국면'이 전개될 것으로 12일 전망된다. 동시에 한미의 대북 정찰·감시 능력도 시험대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 5월31일 첫 군사정찰위성인 '만리경 1호'를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 1형'을 발사했다. 이에 앞서 북한은 국제해사기구(IMO)의 지역조정기관인 일본해상보안청에 항해경보 자료를 보내고 IMO에 관련 내용을 통보하며 발사 기한을 '5월31일 0시부터 6월11일 0시'로 예고한 바 있다.
위성 발사시 관련 국제기구에 일정을 통보하는 것은 의무는 아니지만 관례화된 절차이기도 하다. 위성 발사 때 분리된 로켓 추진체의 낙하와 발사 실패시 예정된 지역이 아닌 곳에 잔해가 낙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이를 대비할 것을 경고하는 차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북한은 1차 발사의 실패 후 IMO의 규탄 결의안 채택 등 국제사회의 비난이 이어지자 이에 반발하면서 2차 발사 때는 관련 일정을 통보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북한은 지난 4일 '국제문제평론가' 김명철 명의의 글에서 "IMO가 우리나라의 위성발사 관련 사전 통보에 반공화국(반북) '결의' 채택으로 화답했다"며 "우린 이를 '사전 통보가 더 이상 필요 없다'는 기구의 공식 입장 표명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IMO는 우리가 진행할 위성발사 기간과 운반체 낙하지점에 대해 자체로 알아서 대책해야 할 것이며, 그로부터 초래되는 모든 후과에 대하여 전적으로 책임질 각오를 가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이제 1차 발사 기한이 만료됐고, 북한이 '사전 통보'를 생략하겠다고 밝힌 상황에서 언제쯤 2차 발사가 이뤄질지는 한미 정보 당국이 사전에 확인해야 하는 과제가 됐다. 대북 정찰과 감시로 북한의 동향을 추적해 발사 시점을 예측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셈이다.

현재 군 당국도 이러한 상황 등을 감안 북한이 앞서 위성을 발사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 지역을 포함해 다른 곳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북한이 각종 발사체를 생산, 시험 및 조립하는 공장 등이 주요 감시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번 주 중으로 노동당 전원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회의에서 군사정찰위성의 재발사와 관련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만리경 1호 발사 실패 후 북한은 당일 대외 매체를 통해 빠르게 실패를 인정했지만, 대내적으로는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있는데, 첫 실패를 '덮기' 위해 발사 시점을 최대한 빠르게 가져갈 것이라는 관측이 뒤따른다.

관건은 북한의 기술력이다. 북한은 '가급적 빠른 시일 내' 재발사를 공언했지만 만리경 1호 발사 실패의 원인으로 지목된 '엔진'과 '연료' 모두 신형인 것으로 파악돼 북한이 이번에 발생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얼마나 빠르게 찾을 수 있는지에 따라 재발사 시점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시간과 여름철로 접어들며 벌써 '보리장마'(초여름 장마)가 시작되는 등 기상 여건을 감안하면 재발사까지 수개월 이상 시일이 걸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somangchoi@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