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 문 닫는 학교' 이유 있었다…아동인구 감소폭 전국 최고

0~17세 12년간 70만명↓…17개 시·도 중 감소폭 가장 커
아동인구 비율도 전국 최저…전국 평균 14%, 서울은 12%

초등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초등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세종=뉴스1) 서한샘 기자 = 학령인구 감소로 화양초, 도봉고 등 서울에서도 초·중·고 통폐합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 지역의 아동인구 감소 폭이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 인구 대비 아동인구 비율도 서울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종로학원이 13일 주민등록인구통계를 기준으로 분석한 0~17세 아동인구 수·비율에 따르면, 지난해 아동인구는 727만1460명이었다. 2010년 1015만6455명에서 12년간 288만4995명(28.4%) 감소했다.

전국 모든 시·도에서 아동인구가 감소했지만 그중에서도 서울은 2010년 183만1288명에서 2022년 112만9765명으로, 12년간 70만1523명 줄었다. 17개 시·도 중 감소 인원과 감소 비율(38.3%)이 가장 컸다.

다음으로 감소 인원이 많은 지역은 경기였다. 경기 아동인구는 2010년 261만656명에서 2022년 210만2904명으로 50만7752명(19.4%) 줄었다.

경남(20만2912명·29.4% 감소) 부산(20만66명·32.4% 감소)도 감소 인원이 많았다.

본문 이미지 - 전국 시도별 총 인구·아동인구 비교. (종로학원 제공)
전국 시도별 총 인구·아동인구 비교. (종로학원 제공)

총 인구 중 아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매년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우리나라 총 인구(5143만9038명) 대비 아동인구 비율은 14.1%로, 3년 연속 14%대로 집계됐다. 아동인구 비율은 2020년(14.9%) 처음 15%대 미만으로 떨어진 후 2021년 14.5%, 2022년 14.1%로 지속 감소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는 역대 최초로 아동인구 비율이 13%대를 기록할 수도 있을 것으로 종로학원은 분석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아동인구 비율이 낮은 곳 역시 서울이었다. 서울 전체 인구 942만8372명 중 아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2.0%에 그쳤다.

반면 세종시는 전체 인구 38만3591명 중 아동인구가 22.7%에 해당하는 8만7090명이었다. 전국 시·도 중 가장 아동인구 비율이 높았다.

오종운 종로학원 평가이사는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최근 서울 주거비용이 크게 상승하면서 경기 2기 신도시 지역(위례·하남·남양주·김포 등)으로 이동하면서 서울 지역의 아동인구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sae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