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저신용자 신용대출 금리 9% 육박…취약차주 설자리 좁아져

금리상승기 맞아 1년 만에 2%p '급등'…5대 은행 저신용자 신용대출 취급액은 25% 감소
2금융권·대부업계도 최고금리 인하 여파로 대출 축소 움직임…불법 사금융 유출 우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서상혁 기자 = 국내 주요 시중은행의 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상단 금리가 9%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해 2%p 가량 상승했는데, 특히 이 과정에서 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취급 규모도 큰 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건전성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대출 심사를 강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이 저신용자 대출 취급 규모를 줄이면 2금융권으로 수요가 몰려 기존 저신용자들이 제도권에서 탈락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불법 사금융에 노출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각 은행의 대출 취급 마지노선에 해당하는 신용등급의 신용대출 금리는 연 6.50~8.85%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을 제외한 3개 은행의 경우 1년 전인 지난 해 1월 3일 대비 상·하단 금리가 2.047~2.66%포인트(p) 상승했다.

이들 은행은 내부 신용평가를 통해 대출자를 10~15개 신용등급으로 분류하는데, 각 신용대출이 취급되는 마지노선은 내부 6~8등급으로 전해졌다. 이하 등급부터는 새희망홀씨 등 정책금융상품으로 유도한다. 은행들은 KCB 등 외부 신용평가기관의 신용점수와 거래 실적 등 내부 지표를 더해 차주의 신용등급을 매긴다.

금리상승기를 맞아 신용대출에 적용되는 준거금리인 금융채 6개월물 금리가 빠르게 상승한 영향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금융채 6개월물 금리는 지난해 1월 3일 연 1.593%에서 6일 4.053%로 2.46%p 올랐다.

이 기간 은행들의 저신용자 대출 취급 규모도 줄었다.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은행의 2022년 1~10월 중 나이스신용평가 신용점수 644점 이하 차주 대상 신용대출 취급액은 119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1% 줄었다. 계좌 수는 1만2931좌에서 9189좌로 28.9% 감소했다.

저신용자의 건전성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은행들이 대출 심사를 깐깐하게 한 결과로 풀이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가 오르면 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저신용자들의 부실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만기 연장 시 한도를 줄이거나 정책 금융 상품을 안내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저신용자의 은행권 탈락 현상은 올해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올해도 기준금리 인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한국은행은 오는 13일 올해 첫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0.25%p 인상이 유력하다. 은행권 저신용자 신용대출 금리도 조만간 9%를 넘을 전망이다.

은행이 저신용자 대출 취급을 줄이면서 취약차주의 제도권 이탈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은행에서 탈락한 저신용자들이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몰리면, 기존 2금융 차주들은 대부업계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법정 최고금리가 20%로 제한되면서 2금융권과 대부업계가 신용대출 취급 규모를 줄이고 있는 상황이라, 저신용자의 설 자리가 빠르게 좁아질 전망이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금융회사의 자금 공금이 어려워진 데다, 최고금리 인하 여파까지 있어 대출 공급이 예전 같지는 않다"며 "취약계층의 경우 물가가 오르면서 급전이 필요해진 이들이 많을 텐데, 자금을 끌어오기 어려워졌으니 불법 사금융의 유혹에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hyuk@news1.kr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이영섭

|

편집국장 : 채원배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