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2023년은 교육개혁 원년…교육부 역량 집중할 것"

시무식 신년사…"사회의 지속가능성 위해 교육개혁은 필수"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고교체제 개편방안 수립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2022.12.28/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2022.12.28/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서울=뉴스1) 이호승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일 "미래 세대의 경쟁력을 높이고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교육 개혁은 필수 과제"라며 "윤석열 정부 내 교육개혁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교육부 시무식에서 "교육부는 2023년을 교육개혁의 원년으로 삼고 역량을 집중하는 한 해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방안 마련, 교실을 깨우는 학습혁명, 국가 책임 교육 실현 등 핵심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과 관련, "올해부터 교육부 주도의 대학 재정지원 방식에서 탈피해 지자체와 지역대학이 성장계획을 마련하고 교육부는 행·재정적 지원을 하는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이 부총리는 "규제혁신과 재정을 패키지로 지원하고 다양한 규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해 대학이 혁신하는데 제약이 없도록 관계 법령을 개정하는 작업도 본격적으로 시작하겠다"며 "한계대학의 구조개혁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또 "인재양성 전략회의를 출범해 교육부 주도의 국가 인재양성 체계로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자율을 기반으로 교실을 깨우는 학습 혁명을 이루겠다"며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방안을 수립하고, 2025년부터 디지털 교과서 플랫폼, AI튜터 등 지능정보기술을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했다.

특히 "지역의 우수 중·고교를 육성하고 다양한 혁신 학교 모델을 만들기 위해 고교체제 개편 방안을 수립하는 한편 고교학점제도 보완사항을 발굴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국가 책임 교육'에 대해서는 "다양하고 질 높은 방과 후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밤 8시까지 돌봄을 제공하는 초등늘봄학교 시범운영도 본격 추진하겠다"며 '유보통합'에 대해서는 "두 기관 간 서비스 격차 최소화 방안도 현장과 함께 고민해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이 부총리는 이밖에 교육자유특구법을 제정하고 교육 관련 규제 철폐를 위해 고등교육법·사립학교법의 개정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yos547@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