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모듈·SSD 등 상호관세 면제…내일 트럼프 '구체적' 발언에 관심

美, 스마트폰·컴퓨터 등 상호관세 면제…아이폰 수입가 고려
트럼프 "14일 반도체 관세에 답 주겠다…아주 구체적일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카세야 센터에서 열린 UFC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도착하며 카메라 세례를 받고 있다. 2025.04.13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카세야 센터에서 열린 UFC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도착하며 카메라 세례를 받고 있다. 2025.04.13 ⓒ 로이터=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최종일 선임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전용기 에어포스원에서 오는 14일에 반도체 품목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한 "답을 주겠다"면서 "(내용이) 아주 구체적일 것"이라고 밝혀 관심이 집중된다.

트럼프 정부는 그간 국가별 이외에 품목별 관세 부과 방침을 여러 차례 밝혀왔고, 철강·알루미늄에 이어 자동차 관세가 이미 발효된 가운데 반도체와 의약품, 구리, 목재 등을 예고한 상태다.

앞서 미국은 지난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이들 품목의 제품은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반도체 등은 별도 부과에 앞서 일시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는 의미가 컸다.

앞서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12일 성명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와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 대통령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되는 수입품에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무역확장법 232조의 조사 결과가 "곧 발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상황에서 트럼프 정부는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 품목에서 제외했다.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전날 상호관세 부과 품목에서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 총 20가지 품목을 제외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반도체 정의에 스마트폰과 반도체 제조장치도 포함된다는 논리를 붙여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

상호관세 면제는 지난 5일 0시 1분 적용 분부터 소급 적용된다. 따라서 10%의 기본관세(baseline tariffs)도 면제된다. 외신들은 이번 조치로 삼성전자를 비롯해 애플, 델, 엔비디아, TSMC 등이 도움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주요 상호 관세 부과 제외 반도체 관련 제품은 △메모리 모듈 등 자동 데이터 처리 장치의 부품과 액세서리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 반도체 기반 고정형 비휘발성 저장장치 △반도체 보울이나 웨이퍼, 반도체 디바이스, 전자 집적회로, 평판 디스플레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계와 기기 △음성, 이미지, 또는 기타 데이터를 수신, 변환, 전송 또는 재생하는 기계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 장치 △트랜지스터 △전자집적회로 등이다.

앞서 상호관세 부속서에서 반도체는 제외됐는데 대부분의 대상은 반제품이었다. 메모리 모듈과 SSD 등 완제품은 빠져 있어, 상호관세 대상이 될 것이란 예상이 있었지만 이번에 제외된 것이 확인됐다.

트럼프 정부가 진행하는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이나 인공 지능(AI)을 위한 데이터 센터의 건설에도 반도체 제조 장치나 기억 장치 등의 수입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이번에 이를 제외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스마트폰의 경우엔 상호관세가 부과되면 애플 아이폰 등의 미국 가격이 2배 넘게 뛰게 돼 미국 소비자들의 반발이 거세질 것을 고려한 조치로 읽힌다. 아이폰은 전체 생산량의 약 80%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폰 등에 새로운 반도체 부문별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은 있지만, 중국으로부터의 수입품에 상호 관세의 무거운 부담이 생기는 사태는 피해 갔다.

또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한국과 중국에서 D램 모듈과 SSD를 생산해 수출하고 있어, 이번 조치로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메모리 수출 중에서 미국 물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10%가 안 된다. 최종 영향은 반도체 관세가 확정된 뒤에 파악이 가능하다.

allday33@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