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밀유출 파문' 헤그세스 美 국방, 외국 인사와 회담에 아내 데려와

국방부 직원도 아닌데…英 국방장관 회담·우크라 관련 회의에 참석
보수 팟캐스트 출신 친동생은 국토안보부 직원…헤그세스 출장에도 동행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 지명자가 5일 (현지시간) 워싱턴 의사당에서 의원들과 회동을 한 뒤 부인 제니퍼 라우셰와 떠나고 있다. 2024.12.06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 지명자가 5일 (현지시간) 워싱턴 의사당에서 의원들과 회동을 한 뒤 부인 제니퍼 라우셰와 떠나고 있다. 2024.12.06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민간 메신저인 '시그널'에서 후티 반군 공습을 논의한 사실이 드러나 비판을 받는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이 자기 아내를 민감한 정보를 공유한 외국 관계자들과의 회의에 데려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8일(현지시간)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헤그세스 장관은 지난 6일 존 힐리 영국 국방장관과의 회담에 아내인 제니퍼 헤그세스를 데려왔다. 이때 두 장관의 모두발언이 끝난 후 취재진은 퇴장했지만 제니퍼는 그대로 남았다.

제니퍼는 지난달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국방장관 회의를 계기로 열린 우크라이나 방위연락그룹(UDCG) 회의에도 동석했다.

이때 제니퍼를 본 외국인 참석자들은 그가 누군지 몰랐다고 한다. 일부는 제니퍼가 있다는 사실에 놀랐지만, 이의를 제기한 경우는 없었다. 실제로 제니퍼가 각 회담에서 논의된 내용에 영향을 끼쳤는지는 불확실하다.

보통 외국 인사와의 회담 배석자는 꼭 그 자리에 있어야 하는 사람들로 제한되며, 참석자는 회담에서 논의되는 내용의 민감성을 고려해 보안 허가를 받아야 한다.

국방부 관계자는 제니퍼가 국방부 직원이 아니라면서도 그가 보안 허가를 받았는지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본문 이미지 -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아아젠하워 사무실에서 취임선서를 산 피트 헤그세스 신임 국방부 장관과 그의 아네 제니퍼 라우셰. ⓒ AFP=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25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아아젠하워 사무실에서 취임선서를 산 피트 헤그세스 신임 국방부 장관과 그의 아네 제니퍼 라우셰. ⓒ AFP=뉴스1 ⓒ News1 류정민 특파원

제니퍼는 헤그세스 장관의 3번째 부인으로, 헤그세스 장관이 진행하던 폭스뉴스의 '폭스 앤드 프렌즈' 프로듀서로 일했다. 이후 그가 국방장관으로 지명되자 항상 남편을 따라다녔다. 이때 일부 상원의원들은 헤그세스 장관과의 만남에 제니퍼가 동석해 놀랐으며 이로 인해 그들은 헤그세스 장관의 성추문 의혹에 대해 질문하기 어색해졌다.

국방부 고위 관리들은 배우자를 공식 출장이나 행사에 데려올 수 있지만, 전현직 국방부 관리들은 민간인 배우자가 국가 안보 회의에 참석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전했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방장관을 지낸 공화당 소속의 척 헤이글은 "외국 장관이나 나토 고위 관리들과의 회의에서는 항상 민감한 안보 관련 대화가 나온다"며 "일급비밀과 국가 안보 문제를 논의하려면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제니퍼는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고 숀 파넬 국방부 수석대변인은 논평 요청에 "당신 기사가 부정확한 내용으로 가득할 것"이라고 이메일로 답변했다. 영국 국방부와 나토 대변인은 논평을 거부했다.

한편 헤그세스 장관의 남동생이자 보수성향 싱크탱크 허드슨연구소의 팟캐스트 프로듀서였던 필립 헤그세스도 최근 국토안보부에서 국방부 연락 담당관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헤그세스 장관과 쿠바의 관타나모 베이 수용소를 방문했고 현재 일본, 필리핀 순방에도 동행하고 있다. 필립은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gwkim@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