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 = 멕시코 동부에 위치한 관광명소 쿠쿨칸 (Kukulkan) 피라미드의 내부에 제3의 피라미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치 러시아 목각 인형처럼 피라미드 3개가 중첩돼 있다는 설명이다.
AFP통신에 따르면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의 르네 차베스 세구로 지구물리학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16일(현지시간) 멕시코시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밝혔다.
전체 높이가 30m에 이르는 쿠쿨칸 피라미드는 동부 유카탄주(州) 마야 문명 유적지 치첸이트자에 내에 위치해있으며 '엘 카스티요' (스페인어로 '성'이란 의미)란 별칭으로 특히 유명하다.
쿠쿨칸 피라미드가 내부에 20m 높이 피라미드를 감싸는 구조로 되어있다는 것은 진작에 알려진 사실이나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두번째 피라미드 내부에 높이 10m의 제3의 피라미드가 추가로 존재한다는 것을 추가로 발견했다.
세구로 교수는 기자회견에서 "가장 큰 구조물 아래 또 하나의 구조물이 있고 그 안에 하나가 더 있었다"며 "마치 러시아 목각인형과 같은 구조"라고 말했다.
가장 작은 피라미드는 550~ 800년 사이에 건설된 것으로 보이며, 1930년대 확인된 두번째 피라미드와 외부를 감싸고 있는 가장 큰 피라미드는 800~1000년과 1050 ~ 1300년에 각각 완성된 것으로 연구팀은 추측했다.
AFP는 이번 발견이 '엘 카스티요'가 3중 구조로 건설됐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세구로 교수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피라미드가 중첩 구조로 건설된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다만, 국립 인류학 역사학 연구소(INAH)의 데니스 알고트 전문가는 세월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이나 지도자의 교체 등의 이유로 피라미드 위에 새 피라미드를 건설하는 중첩구조가 만들어졌다고 추정했다.
연구팀은 빛을 이용한 기술을 통해 피라미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내부의 피라미드를 확인했다.
알고트 전문가는 이번 발견이 멕시코 중부에서 온 이주세력의 영향을 받기 전 마야 문명 원류에 대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baeb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