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일본 정부가 미국에 동중국해, 남중국해와 한반도를 하나의 전구(戰區)로 묶자는 '원 시어터'(One Theatre) 구상을 제안했다고 아사히신문이 15일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나카타니 겐 방위상은 지난달 30일 도쿄에서 열린 미일 국방장관 회담에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에게 "일본은 원 시어터' 구상을 갖고 있다"며 "일본, 미국, 호주, 필리핀, 한국 등을 하나로 묶어 연계를 심화해 나가고 싶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헤그세스 장관은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그는 이후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만나 이 구상을 언급하고 일본, 미국, 호주, 한국, 필리핀 5개국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시어터는 전시에 하나의 작전을 결행하는 지역을 뜻하는 군사 용어로, 전구 또는 전역(戰域) 등으로 불린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는 원 시어터 구상이 기존의 '동중국해 시어터', '남중국해 시어터'를 결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구상을 제안하게 된 배경에는 중국의 위협이 있다. 방위성 간부에 따르면 나카타니 방위상은 중국의 군사적 위협을 염두에 두고 "트럼프 행정부에서 인도·태평양 지역을 일본이 한 층 더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또한 한·미·일과 필리핀, 호주까지 한 몸이 되어서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구로에 데쓰로 전 방위사무차관은 이 구상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가 고립주의적 성향을 보이는 가운데 일본이 적극적 자세를 취해 미국을 이 지역에 묶어두고 미국에 의존하지 않는 안보 선택지를 남겨두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 구상에 대해서는 구체성이 없고 설익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방위성 간부는 "내용이 채워지지 않았는데 전장이라는 강한 용어를 밖에서 써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자위대 간부도 "새 용어를 사용할 경우 방위성 내에서 인식을 일치시켜야 하는데, 용어의 정의도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진보 겐 게이오대 교수는 "지금 일본에 정말 원 시어터의 각오가 있는지, 남중국해에서 무력 충돌 발생 시 자위대와 호주군이 전개될 수 있는지, 어떤 공동 행동이 뒤따르는지, 그저 한 개념에 그치는 것인지 현재로서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과의 분쟁에 휘말려 일본의 안보 리스크와 부담만 높인다는 우려도 있다. 방위성의 다른 간부는 "(분쟁에) 휘말릴 리스크가 높아진다"고 우려했다. 구로에 전 차관도 "이 구상이 진행된다면 일본의 안보상 책임 범위가 넓어져 나중에 타국과의 공동 작전을 펼치게 될 것"이라며 "일본은 헌법상 제약과 법적 근거, 자위대 능력 등의 과제를 해결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gw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