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지완 기자 = 28일(현지시간)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으로 미얀마에서만 최소 20명이 숨진 가운데, 강진 피해지역은 대부분 군사정부가 통치하고 있는 지역인 것으로 드러났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날 지진을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곳이 군부가 세운 네피도, 그리고 미얀마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만달레이라고 보도했다.
만달레이 종합병원의 의사인 진 쪼는 적어도 20명이 숨지고 30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전했다. 그는 "더 많은 부상자가 오고 있으나 우리는 의사와 간호사가 부족하다"며 "면봉이 거의 바닥났다"고 호소했다.
반면 반군이 장악하고 있는 지역은 진원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피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진원지는 미얀마 사가잉시에서 북쪽으로 약 16㎞ 떨어진 지점이다. 다만 반군이 장악한 지역의 피해 보고가 뒤늦게 나올 가능성도 있다.
앞서 지난 2021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아웅 산 수 치 여사가 이끄는 민간 정부를 축출한 군부는 2023년 사이클론 모카가 발생했을 때 반군이 점령한 피해 지역에 대한 국제 원조를 막았다는 비판을 받았다.
마찬가지로 군사정부가 집권하고 있었던 2008년에도 사이클론 나르기스가 에야와디 삼각주 지역을 강타했을 때 지원 전달 속도가 너무 느리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때 미국 정부는 군사정부가 "범죄적 태만"을 저질렀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군부 통치 지역이 지진으로 타격을 입은 만큼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군사정부 지도자인 민 아웅 흘라잉 국가행정위원회 위원장은 병원을 찾아 부상자들을 살폈다. 이후 그는 6개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했다.
gw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