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PICK]이재명, 교섭단체 대표연설 '성장' 29번 언급

최근 밀고 있는 실용주의자로서의 면모 강조
항의하는 與 향해 "잠시만 기다려달라. 품격을 유지해달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서울=뉴스1) 안은나 김민지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국회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며 42분간 '성장'을 29번 언급했다.

이는 최근 밀고 있는 실용주의자로서의 면모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AI)'은 17번, '경제'는 15 차례나 나왔다.

그동안의 '우클릭' 행보로 약해졌다는 기본사회에 공약도 재차 언급하며 이를 성장과 결합해 '먹사니즘'을 넘어 '잘사니즘'도 꺼내들었다.

이 대표는 "정치가 앞장서 합리적 균형점을 찾아내고 모두가 행복한 삶을 꿈꿀 수 있는 진정한 사회 대개혁의 완성, 그것이 바로 '잘사니즘'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또한 "첨단 기술 분야에서 장시간 노동, 노동 착취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말 자체가 형용모순이다"라며 총 노동시간 확대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노동시간이 1700시간이다. 지금 3000시간 넘겨서 일하자는 게 아니지 않나"라며 "그러면 (노동시간) 유연화하더라도 총 노동시간 늘리자는 소리를 누가 하겠냐"라고 했다.

이는 이날 이 대표가 "특별한 필요 때문에 불가피하게 특정 영역의 노동시간을 유연화해도 그것이 총노동시간 연장이나 노동 대가 회피 수단이 되면 안 된다"라고 말한 대목에서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의 항의성 발언에 대한 답변이다.

이 대표는 우 의원의 발언 이후 "잠시만 기다려달라. 품격을 유지해달라"라고 미소를 띠며 원고에 없던 발언을 이어갔다.

이날 이 대표가 연설 도중 '국회의원 국민소환제' 도입을 언급하자 국민의힘 측에서는 "자살골" "법인카드 쓴 것부터 토해내라"는 항의가 또다시 터져 나왔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에 "예의를 지켜라" "조용히 하라"고 반발했다.

이 대표는 이를 두고 "내일 국민의힘 대표께서 말할 때도 조용히 들어드리겠다"라며 방청객으로 있던 초등학생들을 가리키며 "초등학교 학생들도 보면서 하고 있잖냐"라고 맞받아쳤다.

이날 민주당 의원들은 28번이나 박수를 치며 이 대표의 연설에 호응했지만 국민의힘에서는 야유와 탄식, 항의성 발언들이 계속 이어지기도 했다.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는 가운데 여당 의원들이 이를 듣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회복과 성장'을 주제로 제422회 국회(임시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는 가운데 여당 의원들이 이를 듣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본문 이미지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국무위원들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국무위원들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본문 이미지 -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던 중 최형두 비대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듣던 중 최형두 비대위원과 대화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본문 이미지 -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통화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통화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본문 이미지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마치고 여당 의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마치고 여당 의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본문 이미지 - 우원식 국회의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 입장하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우원식 국회의장이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 입장하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악수하고 있다. 2025.2.10/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coinlocker@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