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뉴스1) 강승남 기자 = 제주의 한 교사가 수업 중 학생들이 대답을 하지 않자 '4·3 유전자가 흘러서 그래"라고 발언한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학생들은 해당 발언에 반발, 학교 측의 조치와 교사의 사과를 요구하는 대자보를 교내에 내걸었다.
논란이 커지자 해당 교사는 "수업 시간에 더 적극적으로 임하면 좋겠다는 뜻에서 한 말이고, 4·3 사건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
11일 제주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이날 오전 제주시내 한 고교엔 학생들이 쓴 '4·3 유전자란 무엇입니까'라는 대자보가 걸렸다.
학생들은 이 대자보를 통해 "지난 4월 4일 교육 현장인 바로 이곳에서 믿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 한 교사가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대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4·3 유전자가 흘러서 그래'라는 발언을 내뱉었다"며 "해당 발언이 수십 년 전 피해자들을 '폭도' '빨갱이'라 칭하던 입장과 무엇이 다른가"라고 비판했다.
학생들은 "도민의 3분의 1가량이 학살당했음에도 오랫동안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아 생존자들마저 아픔을 숨겨야 했던 역사를 교육자가 이처럼 사사로이 거론하는 것이 과연 옳은 행동인가"라며 "그릇된 역사 인식을 알리고 학교의 조치와 교사의 반성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다른 학생들도 이에 동조하는 의미로 해당 대자보에 자신들의 의견을 담은 포스트잇 메모를 붙였다. 이 메모엔 "반성을 요구합니다" "사과하세요" "왜곡된 역사의식, 지역 혐오성 발언" "교사의 해당 행위를 규탄합니다. 학교의 합당한 처분을 요구합니다" 등의 문구가 적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학교 측은 해당 교사 면담 등을 통해 정확한 사실관계 확인에 나섰다.
그러나 학교 측 확인 결과, 해당 교사의 문제 발언은 4월 4일이 아닌 지난달 초 1학년 학급의 통합사회 수업 시간에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학교 관계자는 이날 뉴스1과의 통화에서 "해당 교사는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대답하지 않자 '4·3 사건 당시 피해를 본 아픈 기억 때문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성향이 제주도민들에게 잠재된 것 같다'는 취지로 한 말이라고 설명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해당 교사는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더 적극적으로 임하면 좋겠다는 의미였고, 4·3 사건을 비하할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해명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도교육청은 이날 해당 학교에 장학관과 장학사를 보내 진상 파악에 나섰다.
ks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