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잃고 연좌제 시달렸던 통탄의 세월"…제주4·3 유족의 한

4·3평화기념관서 '제24회 4·3 증언 본풀이 마당' 열려
"망인 두 번 죽이고 유족 가슴에 대못 박는 일 없어야"

제주4·3 희생자 유족인 임충구 씨(81)가 28일 오후 제주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24회 제주4·3 증언 본풀이 마당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주4·3 희생자 유족인 임충구 씨(81)가 28일 오후 제주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24회 제주4·3 증언 본풀이 마당에서 발언하고 있다.

(제주=뉴스1) 오미란 기자 = "'폭도 아들', '빨갱이 아들'이라고 할까 봐 아버지 이름도 함부로 말 못 하고…"

28일 오후 제주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열린 제24회 제주4·3 증언 본풀이 마당에서는 4·3으로 부모를 모두 잃고 평생 연좌제에 시달려 온 임충구 씨(81)의 안타까운 사연이 소개됐다.

임 씨에 따르면 임 씨의 아버지 임원전 씨는 4·3 발발 초기 행방불명됐다. 일제강점기 당시 제주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제주농업학교를 졸업한 뒤 곧장 공무원으로 일하던 20대 청년의 안타까운 끝이었다. 이때는 아들 임 씨가 5살도 채 안 된 때였다.

임 씨는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많지 않지만 어느 날 '어머니 말 잘 듣고 누이동생이랑 사이좋게 지내고 있어라'라고 말하며 뒤돌아서는 모습이 제가 기억하는 아버지 마지막 모습"이라고 회상했다.

이후 임 씨는 남의 집에서 남의 집으로 옮겨 다니며 지내기를 반복했다. 그는 "멸족만은 피하려 했던 어머니의 사투가 절 살린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임 씨가 7살이던 해, 임 씨 어머니는 서귀포 섯알오름에서 집단 학살당하고 말았다. 6·25 전쟁 발발 직후 예비검속으로 경찰에 끌려가 희생된 것이다.

본문 이미지 - 28일 오후 제주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제24회 제주4·3 증언 본풀이 마당이 열리고 있다.
28일 오후 제주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제24회 제주4·3 증언 본풀이 마당이 열리고 있다.

임 씨는 "천애 고아가 된 뒤 부모의 죽음을 놓고도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를 물어보는 게 금기어였던 시절이 오랫동안 이어졌다"며 "그 긴긴 시간이 제게는 정말 숨 막히는 시간이었다"고 했다.

'보통고시'로 불리던 공무원 임용시험에 합격했음에도 끝내 발령받지 못해 포기해야 했던 일, 사업을 하던 30대 때 해외 출장 준비 과정에서 여권이 발급되지 않았던 일, 해외 출장지에서 '이곳에서 누구를 만났는지 전부 기록해 제출하라'는 내용의 쪽지를 받았던 일, 누이동생의 남편이 결혼 직후 2개 공무원 임용시험에 동시 합격했음에도 그 역시 끝끝내 발령받지 못했던 일까지.

그는 "누가 뭐라 하지 않아도 스스로 '레드 콤플렉스'의 감옥에 갇혀 버린 꼴이었다. 사방이 막힌 듯 옴짝달싹할 수 없었다. 그 압박감이라는 게 너무도 힘들었다"면서 "무엇보다 대물림되는 연좌제는 정말 커다란 고통이었다. 아무 말도 못 하고 하늘만 바라봤던 생각이 난다"고 토로했다.

55살 때였던 1999년, 그는 행방불명됐던 아버지의 소식을 극적으로 접했다. 수형인 명부가 발굴되면서 아버지가 1949년 군법회의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제주국제공항에 총살당한 뒤 암매장된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그러나 이후 진행된 4·3 수형인 특별재심에서 임 씨는 아버지의 무고함을 다시 한 번 호소해야 했다. 검찰이 임 씨 아버지에 대해 4·3 희생자로서 결격 사유가 있다고 주장해 사상 검증 논란을 낳은 탓이었다. 다행히 재심 결과는 무죄였다.

임 씨는 "2023년 1월 가족 모두 함께 4·3평화공원 봉안실에 계신 아버지께 참배하며 무죄 확정 판결문을 올렸다"면서 "바라건대 망인을 두 번 죽이고 유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일이 더이상 반복되지 않기를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mro1225@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