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가 초기 청년들을 직접 찾아가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다양한 청년정책을 알린다.
광주시는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등 지역대학교 9곳을 찾아 대학생을 대상으로 광주시 초기 청년 정책에 대한 홍보와 함께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는다.
광주시는 동강대(1일)와 광주여대(2일)에 이어 송원대(9일), 서영대(10일), 전남대(15일), 조선대(22일), 호남대(5월13일), 광주대(미정), 남부대(미정) 등에서 홍보활동을 펼친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끝나는 11월부터는 지역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수능 이후 정책 강의, 예비 청년 환영 꾸러미(웰컴 키트) 등을 지원하는 예비 청년 정책 홍보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홍보활동은 광주시와 광주 청년센터가 추진하고 있는 '찾아가는 청년정책'의 하나로, 초기(예비) 청년인 대학생과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일자리, 주거,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등 청년의 욕구에 맞는 정책을 알리기 위해 마련했다.
광주시가 운영하는 청년정책 종합 안내 누리집인 광주 청년 통합플랫폼을 통해 청년들이 쉽게 정책에 참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이다.
권윤숙 청년정책과장은 "초기청년들이 필요한 정보를 얻지 못해 지원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홍보활동을 통해 광주시의 다양한 청년정책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돕고, 청년들과의 소통해 실효성 있는 청년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 청년센터는 청년정책 거점 시설로, 지난해 국무조정실로부터 '지역 거점 청년지원센터'로 지정됐다. 센터는 △구직 청년 자격증 취득 지원 △청년 자립 준비 지원 △청년13(일+삶)통장 지원 △마음 건강상담소 △토닥토닥 카페를 통한 정장 대여 이력서 사진 촬영 등 구직 청년과 취약 청년에게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근로 청년 목돈 마련, 금융 교육, 심리상담 지원, 온라인 취업 지원 등도 추진한다.
nofatejb@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