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1) 조영석 기자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화학과 안진희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하일 교수 공동연구팀이 간 섬유화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마련할 신약 후보물질 '19c'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19c'는 간 섬유증 동물 모델에서 섬유화와 관련된 단백질(α-SMA, TIMP1, Col1a1, Col3a1 등)의 발현을 억제하고 세포외기질(ECM)의 축적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간 섬유화는 간 세포 손상으로 인해 ECM이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간 구조와 기능이 망가지는 질환으로 간 섬유화가 심해지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발전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수적이다. 주요 원인은 △장기적인 알코올 남용 △비만으로 인한 대사질환 △자가면역성 간 질환 △바이러스성 간염 등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FDA 승인을 받은 간 섬유화 치료제는 '레스메티롬(Resmetirom)'이 유일하지만 위약군 대비 12~14%의 제한적인 개선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간의 구조와 기능을 보존하고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 '19c'는 간별상세포(HSC cells)에서 세로토닌 수용체 2B(5HT2B)의 작용을 차단하여 섬유화 진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했다.
또 심장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hERG 채널을 저해하지 않으며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등 강력한 항섬유화 효과와 우수한 안전성이 확인됐다.
안진희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19c'는 강력한 항섬유화 효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갖춘 약물로, 간 섬유화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안진희 교수와 KAIST 김하일 교수가 지도하고, GIST 화학과 윤지현 박사와 전북대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최원일 교수가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JMC(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에 3월 6일 온라인 게재됐다.
kanjo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