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지역의 비둘기 분변에서 사람에게 식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균이 검출돼 주의가 요구된다.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중점 연구과제로 추진한 '광주지역 비둘기 병원체 감염 실태조사' 결과, 살모넬라균과 캠필로박터균이 검출됐다고 30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 광주지역 비둘기 집단 서식지 50개 장소에서 비둘기 분변 60건을 채취해 병원체 조사를 진행했다.
검출된 주요 병원체는 살모넬라균 1건(1.7%)과 캠필로박터균 4건(6.7%)이다. 특히 지난해 11월 남구 양림동 푸른길 공원에서 채취한 비둘기 분변에서 두 가지 병원체가 동시 검출됐다.
살모넬라균과 캠필로박터균은 사람에게 설사와 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비둘기 배설물과 직접 접촉하거나 간접 경로를 통해 감염된다.
일반적으로 개인위생 상태가 좋지 않을 때 감염되기 쉬우므로, 외출 후 손 씻기 등 감염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정현철 광주보건환경연구원장은 "비둘기로 인한 감염 예방을 위해서는 비둘기 서식지와 배설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개인위생과 주변 환경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nofatejb@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