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부산지역 다수 수출기업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2기 통상정책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부산상공회의소가 부산지역 수출 상위 기업 177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트럼프 2기 통상정책에 따른 지역 수출기업 영향 및 대응 실태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지역 수출기업의 71.8%가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 응답했다. 이 중 '다소 부정적' 57.1%, '매우 부정적' 14.7%였으며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3.4%에 그쳤다.
이는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고율의 상호관세 부과 등 전 세계를 대상으로 관세장벽을 높임에 따라 철강, 자동차·부품, 기계 등 지역 주력업종 중심으로 피해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출 전망에 대해 비관적 시각이 우세했다. 올해 수출이 전년 대비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42.5%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대미 수출에서 감소할 것이란 응답이 46.3%로 가장 높았다.
트럼프 2기 통상정책의 위험 요인으로는 미국의 관세부과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와 산업별 수출규제를 꼽았다.
환율 상승에 따른 채산성 증가와 조선업 호조 등 일부 기회요인도 존재할 것이라는 예측도 있었다.
트럼프 2기 정책에 대한 대응으로는 응답 기업 중 61.0%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주된 대응 전략으로는 신규시장 개척과 R&D 투자 확대를 꼽았다. 응답 기업의 39.0%는 별다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나 지자체에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대미 관세, 무역 규제 등에 관한 정부 대응력 강화(21.8%)와 신시장 진출 지원(21.0%)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물류비와 무역보험료 지원(16.0%), 원-달러 환율 안정화(13.8%), R&D 지원(11.9%), 해외인증 지원(8.8%) 등 순이었다.
부산상의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트럼프 2기 정책에 따른 피해는 아직 제한적이나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역효과가 본격화할 경우 글로벌 교역 감소와 공급망 재편 등으로 인해 지역 기업은 수출 물량 감소와 채산성 악화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 차원의 외교 협상력 강화와 지역경제에 특화된 맞춤형 기업지원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syw534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