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60세 이상 고령자를 재고용하는 부산지역 기업의 만족도가 10점 만점 기준 9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상공회의소는 60세 이상 고령자를 고용하고 있는 지역기업 152개 사를 대상으로 한 '부산지역 고령인력 운영 실태 조사결과'를 19일 발표헸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24.3%가 직원의 10% 이상을 60세 이상 고령자로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5% 미만이 63.2%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10%~20% 미만(20.4%), 5%~10% 미만(12.5%), 20% 이상(3.9%) 등의 순이었다.
채용 유형으로는 소속 퇴직자의 재고용이 응답기업의 7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재고용과 재취업 모두 이용 21.7%, 재취업 3.3% 순이었다.
고용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9.02점으로 높았으며 항목별 만족도도 큰 편차 없이 긍정적이었다. 특히 고령자가 취약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노동생산성(8.99), 변화 적응력(8.97), 건강·체력(8.96) 등도 우려와는 달리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고령자의 직종별 노동생산성에 있어서는 전문기술직 및 관련 관리직이 56.6%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일반 사무직(51.5%), 연구직(45.0%), 생산직·현장노무직(37.1%), 서비스영업·판매직(31.8%) 순이었다.
고령인력 운용에 따른 애로 부분은 응답기업의 78.3%가 없다고 응답한 가운데 애로가 있다고 응답한 기업의 48.5%는 안전관리 부담을 꼽았다.
기업들은 고령인력 운용을 위해 근무환경 개선, 임금체계 개편, 유연근무제 도입 등 제반환경 조성보다는 고령인력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업무에 필요한 교육위주로 대응하고 있었다.
고령인력 생산성 향상을 위한 필요 지원책으로는 고용지원금 확대, 근로 인센티브 등 퇴직 전 임금수준을 보전할 수 있는 현금성 지원을 통해 근로 의욕을 제고할 수 있는 지원책을 가장 선호했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저출산, 고령화로 지역의 생산가능인구가 줄고 있기 때문에 산업현장에서 고령인력을 활용하는 것은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기업마다 고용사정이 다른 만큼 자율적으로 고령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재고용 제도의 확산을 위해 실질적인 정책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syw5345@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