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1970년 3월 31일, 일본 도쿄 하네다 공항을 출발해 후쿠오카로 향하던 일본항공 351편 '요도호'가 피랍됐다. 이 여객기를 납치한 자들은 일본 극좌파 무장단체 '적군파'였다.
요도호 납치 사건은 1970년대 일본 사회의 혼란스러운 시대적 배경 속에서 발생했다. 특히 1960년대 후반부터는 학생 운동을 중심으로 극좌파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됐다. 이들은 기존 사회 체제에 대한 불만과 혁명적 이상을 추구하며 과격한 행동을 일삼았다.
적군파는 일본 내에서의 공산혁명을 목표로 삼았다. 일본 정부의 탄압이 심해지자 이들은 해외에 근거지를 마련하고, 그곳에서 훈련을 받은 뒤 일본으로 돌아와 혁명을 완수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들이 혁명 거점으로 삼은 곳은 다름 아닌 북한이었다.
납치법들에 의해 여객기는 평양으로 향했다. 하지만, 여객기가 착륙한 곳은 북한이 아닌 대한민국 김포국제공항이었다. 일본 정부로부터 항공기 납치 사실을 전달받은 한국 정부가 김포공항 관제사를 평양 관제소처럼 행세하게 해 납치범들을 속였다.
뒤늦게 상황을 파악한 납치범들은 격분했다. 그들은 승객들을 인질로 잡고 한국 군경과 3일간 대치했다. 한국 정부는 인질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며 신중하게 협상을 진행했다. 일본 정부도 운수성 정무차관 야마무라 신지로를 인질로 보내는 등 필사적인 협상에 나섰다.
결국, 납치범들은 승객 전원을 석방하고 야마무라 차관을 대신 인질로 삼아 북한으로 떠나는 조건에 합의했다. 4월 3일, 요도호는 납치범 9명, 승무원 3명, 야마무라 차관을 태우고 김포국제공항을 떠나 평양으로 향했다. 납치범을 제외한 승무원 3명과 야마무라 차관은 4월 5일 일본으로 귀환했다.
납치범들은 북한에 망명했다. 이 가운데 일부는 사망했고 일부는 일본으로 귀국했다. 요도호 납치 사건은 일본과 북한 간의 외교적 갈등의 원인 중 하나로 남아 있다.
acene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