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강수련 기자 =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상품 유형이 다양화되고 있지만 총 비용·보수율 등 투자자들을 위한 정보 공시 관리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19일 나왔다.
최수정 숭실대 교수는 이날 자본시장연구연과 한국파생상품학회가 개최한 'ETF 시장의 변화와 발전 방향' 정책 심포지엄에서 "ETF 상품은 늘어났지만 총 비용·보수율 등 정보에 대해 일원화된 관리가 부재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올해 12월 기준 총 932개의 ETF가 상장돼있고, 추적지수는 총 684종에 달한다.
그러나 정보를 관리해야할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협회의 사이트 모두에 시계열 자료를 제공하지 않고, 정보 통합이 어려우며, 총 보수 내역 등에는 매매·중개수수료율이 포함되지 않는 등 한계가 있다고 봤다.
최 교수는 "액티브 ETF 시장 확대에 따른 추종지수 다양화로 투자자들의 정보와 이해가 부족할 수 있다"며 "괴리율, 추적오차, 수수료율 등 일원화된 ETF 관련 공시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ETF 상장 폐지 전 장내매도 하지 않으면 15.4% 배당소득세가 적용되는 만큼 관련된 정보 제공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파생형, 액티브형, 테마형 ETF가 빠르게 성장한 만큼 특정 영역으로의 쏠림과 과도한 마케팅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권민경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시장 대표지수형에서 최근에는 전기차, 2차전지, 빅테크, 반도체 AI 등 소수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테마형이 대거 출시돼 호응을 얻었다"며 "운용보수도 파생형이나 액티브 주식형, 테마형 등 비전통적 유형에서는 오히려 상승하기도 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특정 영역에서의 자산가치가 대폭 하락할 때 자산운용업 전반의 신뢰도 저하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당시 유행하는 상품으로 투자를 유도하는 운용사 간 마케팅 경쟁이 과도한 것은 아닌지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도 "투자자 보호 관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ETF 비교 플랫폼 관련된 내용들은 정책 당국이나 유관 기관의 충분한 지원과 적극성이 요구된다"고 했다.
이를 위해 △ETF 신상품 보호제도 실효성 제고 △상장심사 유연화와 상장 심사 기간 단축 △소규모 거래 상품의 지수 교체 및 리브랜딩 허용 △ETF 순자산가치(NAV) 변경 허용 등을 제안했다.
투자자들을 위해 ETF 상품 간 차별화가 필요하며, 소규모 저유동성 상품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강병진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는 "여러 운용사들에서 비슷한 상품들을 양산을 하다 보면 차별화가 안 되고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믿고 투자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선택과 집중, 운용사의 장기적 전망이나 투자 철학이 반영될 필요 있다"고 했다.
최철호 한국거래소 증권시장부장은 "단기간에 ETF 양적 성장하며 소규모·저유동성 상품이 단기간 내 많이 형성됐다"며 "상품 자체가 많은 것보다는 이 문제에 대해 더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training@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