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미국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출 것을 시사한 것에 대해 향후 금리 불확실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금융감독원은 30일 오전 이복현 금감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종료 직후 금융시장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이 원장은 미국이 시장의 예상대로 금리를 동결했지만, '금리 인하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밝힌 만큼 현재의 고금리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이어 그는 향후 발표될 주요 경제지표와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미국의 금리 경로가 결정될 것이며 이에 따라 금리 변동성이 커지면서 대내외 불확실성도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이 원장은 임직원들에게 경제·금융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며 금융상황 관리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먼저 그는 직원들에게 "산업 보조금·관세 등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에 민감한 산업과 기업군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고 지원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이 원장은 최근 딥시크(DeepSeek)와 같은 저비용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미국 빅테크 주가가 고평가될 가능성이 커지고 이에 따라 주식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며 "AI 산업 구조에도 큰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관련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2024년도 결산 시 금융사가 충분한 충당금을 적립하도록 유도해 내수부진 부동산 침체에도 자금공급 기능이 위축되지 않도록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라"고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이 원장은 기업들의 자금조달 실태를 종합적으로 점검해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지 않도록 지원할 것을 주문했다.
potgu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