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최초 '스테이블코인 협의회' 출범…"더이상 골든타임 놓치면 안돼"

한국핀테크산업협회서 출범…협의회 초대 의장에 블록체인 기업 DRSV
제도 정비 및 해외 국가와 협력…"금융 패러다임 변화 속도 빨라"

25일 서울 영등포구 서울국제금융오피스에서 열린  '스테이블코인 협의회 출범식''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2.25/뉴스1
25일 서울 영등포구 서울국제금융오피스에서 열린 '스테이블코인 협의회 출범식''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2.25/뉴스1

(서울=뉴스1) 최재헌 기자 = 스테이블코인에 대해 논의하는 최초의 민간 협의체가 탄생했다. 저렴한 비용과 빠른 결제·송금 속도가 장점인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를 비롯해 관련 사업 모색까지 나선다. 발행액만 2000억달러(약 290조원)가 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참가하기 위해 해외 주요 국가들과 결제 사업 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포럼·세미나 운영에 힘쓸 예정이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는 25일 서울 영등포구 서울국제금융오피스에서 '스테이블코인 협의회'의 공식 출범을 알렸다. 협의회는 한국 최초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민간 논의 기구로 이날 운영계획을 발표했다.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송금 인프라로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하기 위한 제도 정비·활성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협의회는 한국핀테크산업협회의 금융 기업과 스테이블코인 발행·유통·기술 기업 47개 사로 구성했다. 정보보안과 전자금융업, 자금세탁방지(AML), 토큰 증권(ST)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이 모였다.

협의회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제도 정비를 비롯해 글로벌·국내 생태계를 연결할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먼저 국회·금융당국과 소통해 유럽연합(EU)과 싱가포르, 일본 등 해외 주요국 수준의 규제 도입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후 해외 주요 기업과 협력해 국경 간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도입한다. 현재 싱가포르에선 환전 없이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가능하다.

또 스테이블코인 관련 정책 포럼과 세미나 추진 등의 활동도 정기적으로 개최한다.

이근주 한국 핀테크협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지난해부터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논의가 협회 내부에서 있었는데, 지난달 금융위원회에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정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도 업계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야 실효성 있는 정책을 제대로 만들고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해 이번 협의회를 출범했다"고 강조했다.

스테이블코인 협의회 초대 의장은 블록체인 기업 DSRV랩스가 맡는다.

서병윤 DSRV랩스 미래금융연구소장은 이날 '스테이블코인과 금융혁신'에 대해 발표하며 "스테이블코인이 국제 송금 결제에서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은 극명한 사실"이라고 밝혔다. 서 소장은 "송금·결제 비용을 줄이고 거래 속도를 높여 결제 인프라에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며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액은 지난달 기준 200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해 온체인 데이터를 살펴보면 글로벌 카드사 비자·마스터카드의 연간 결제액을 합친 것보다 스테이블코인이 더 많이 쓰였다"며 "베네수엘라와 아르헨티나 등 중남미 국가에선 소매 결제액의 30% 이상이 스테이블코인으로 쓰인다"고 말했다.

이어 "대만과 홍콩, 필리핀도 소규모 규제 샌드박스로 스테이블코인 실험을 하고 있다"며 "생각보다 금융 패러다임은 빨리 변하고 있어 골든타임(적기)이 얼마 남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chsn12@news1.kr

대표이사/발행인 : 이영섭

|

편집인 : 채원배

|

편집국장 : 김기성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