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정부가 글로벌 식량위기 해소를 위해 'K-농업기술'을 올해 우즈베키스탄, 몽골, 베트남 등 개발도상국 6개국에 전수한다. 이를 통해 개도국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한국 농기자재 기업의 수출 활로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5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K농업기술을 활용한 개발도상국 식량안보 기여방안'을 발표했다.
농진청의 이번 계획은, 한국의 우수한 농업기술을 전파하는 일차원적 지원에서 더 나아가 세계 각국과의 다각적 협력을 통해 글로벌 농업의 발전 가능성을 높이고, 식량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농진청은 이번 방안을 구체화할 3대 전략으로 △농업기술 공적개발원조(ODA) 파급효과 제고 △글로벌 농업 연구개발(R&D) 네트워크 강화 △호혜적인 농기자재 수출 전략을 수립했다.
농진청은 2009년부터 농업기술 전문가를 개도국에 파견해 27개국에서 맞춤형 농업기술을 보급해왔다. 또한 대륙별 농식품기술협력협의체를 운영해 아시아 14개국, 아프리카 37개국, 중남미 14개국의 농업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는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 시범마을을 통해 검증한 농업기술을 파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몽골, 베트남, 키르기스, 케냐 등 총 6개국에 전수할 계획이다.
농진청은 개도국 현지 여건에 맞는 농기자재를 적기 투입해 현지의 농업 생산성을 높일 방침이다. 현지 주요 작목과 낙농업 생산성 증진에 필요한 농기자재 패키지 시범 수출을 통해 개발도상국이 처한 농업 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한국 농기자재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를 확보할 계획이다.
아프리카 3개국에는 벼 생산 관련 농기계 20종, 중남미 3개국에는 감자 생산 관련 농기계 16종을 투입한다. 중동 등 8개국에는 혹서기 또는 물 부족 환경에 적합한 시설원예 기술을 보급해 안정적인 채소 재배를 지원한다.
낙농산업의 생산성이 낮은 중앙아시아에는 번식 관리와 사양 관리, 질병 관리에 필요한 정액, 수정란, 사료첨가제, 백신 등 'K-낙농기술'을 패키지 형태로 투입해 실증단지를 조성한다.
이 과정에서 대상국 환경에 적합한 농기자재를 종합적으로 구성하고, 수출 컨소시엄을 조직해 한국형 기술을 해외에서 실증·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농진청은 이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새로운 농기계 수출 활로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농진청은 농업기술 ODA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수원국 정부와 국내 유관 부처, 국제기구·국제 연구기관과 협업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해외농업기술개발사업(KOPIA)을 중심으로 개발·검증한 맞춤형 농업기술 성과를 현지 정부 정책과 연계해 범국가적 확산을 유도할 방침이다.
이미 일부 국가에서는 K-농업기술을 통해 스스로 농업 격차를 해소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파키스탄의 경우 무병씨감자 수경재배 기술을 전수받아, 현지 씨감자 생산성이 약 6배 증가했다. 파키스탄 정부는 이를 국책사업으로 지정해 씨감자 자급률을 3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업기술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개발(R&D) 국제협력 네트워크 확보를 위해 글로벌 농업 R&D 네트워크도 강화한다. 세계 주요 식량작물과 채소류를 중심으로 기상재해와 병해충에 강한 품종(7건)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농업 현장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관리해 작물 생산량을 예측하고, 자동 수분관리 기술, 인공지능(AI) 기반 제초 로봇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환경관리 기술을 개발한다.
권재한 농진청장은 "공적개발원조 활동은 지구촌 소외된 이웃의 가난과 불평등을 해소해 삶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국제사회 동반성장을 약속하는 나침반"이라며 "농진청은 글로벌 중추 국가인 한국의 위상에 걸맞은 책임과 의무를 다해 글로벌 이슈에 시의적절하게 대응하고, 관련 R&D를 주도해 국경을 초월한 지속 가능한 농업 협력을 이끌어가겠다"고 말했다.
freshness41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