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해양수산부가 26일 '2025년도 어촌신활력증진 사업' 신규 대상지 25개소를 선정하고, 3000억 원을 투입해 어촌의 생활·경제 인프라를 확충한다고 밝혔다.
어촌신활력증진 사업은 어촌 300개소를 대상으로 총 3조 원을 투자, 어촌을 활력 넘치는 공간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3년부터 추진 중이다.
해수부는 올해 사업 대상지 선정을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연안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 접수를 진행하고, 3개월간의 평가를 거쳐 사업지 25개소를 최종 선정했다.
어촌 경제 플랫폼 조성 사업에는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장호항,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항, 경상남도 사천시 삼천포항,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격포항, 충청남도 당진시 장고항, 서천군 장항항 등 6개소가 선정됐다. 6개소에는 개소당 300억 원의 재정이 5년간 투입되며 민간에서도 약 8700억 원의 자본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해당 어촌에 수산업 복합단지, 관광 기초 인프라 등을 구축해 지역의 수산·관광 거점으로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강원 삼척시 장호항의 경우, 재정사업을 통해 '비즈니스 콤플렉스', '수산물 복합센터'를 조성하고, 휴양콘도미니엄을 민간투자 사업으로 유치해 해양레저형 경제거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민간은 삼척시의 풍부한 관광자원을 거점으로 한 휴양콘도미니엄 조성에 19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장호항 생산 수산물 활용, 팝업스토어, 지역민 우선 채용 등 지역사회와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어촌 생활플랫폼 조성 사업에는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봉포항, 경상북도 포항시 석병리항, 경상남도 통영시 연화생활권, 전라남도 여수시 송도항, 완도군 동고생활권 등 5개소가 선정됐다. 5개소에는 개소당 100억 원의 재정을 4년간 투입해 문화·복지 등 어촌 주민의 생활서비스를 개선할 계획이다.
전남 완도군 동고생활권은 앵커조직이 지역에 상주하면서 지역에 필요한 생활서비스 개선 프로그램을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폐교 부지 및 시설을 활용한 거점시설을 조성하고, 파손된 어항 진입도로 보수 등 어항시설 정비를 통해 어민들의 편안하고 안전한 어업 활동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어촌 안전인프라 개선 사업에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지도항, 경기도 화성시 송교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토산항 등 14개소가 선정됐다. 14개소에는 각각 50억 원의 재정을 3년간 투입한다.
제주 서귀포시 토산항은 높은 파도로 인한 월파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방파제를 보강하는 등 주민들의 안전을 강화하고, 해녀들이 조업 전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쉼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인천 옹진군 지도항, 전남 보성군 해도항 등에는 낙후된 선착장을 보강해 여객선 이용 안전사고 대비에도 나선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어촌신활력증진 사업이 어느덧 3년 차를 맞이한 만큼 어촌 주민들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책임감을 가지고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freshness41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