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과학연, 꼭꼭 숨은 ‘다크 엑시톤’ 감지…차세대 반도체 개발 청신호

두 개의 단일층 반도체 물질을 적층 시 발생하는 다크 엑시톤 도식도 및 발생하는 엑시톤.(IBS 제공)/뉴스1
두 개의 단일층 반도체 물질을 적층 시 발생하는 다크 엑시톤 도식도 및 발생하는 엑시톤.(IBS 제공)/뉴스1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서로 다른 반도체 소재를 적층한 소자에서 '다크 엑시톤'을 최초 감지, 전자 대신 준입자 ‘엑시톤’을 활용하는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청신호가 켜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이영희 연구단장 연구팀이 윤석준 미국 오크리지국립연구소 팰로우, 독일 필립스-마르버그 대학 에르민 말릭 교수 연구팀과 서로 다른 반도체 소재를 적층한 소자에서 ‘다크 엑시톤(어두운 엑시톤)’을 최초로 감지했다고 12일 밝혔다.

반도체 소재는 전자가 존재할 수 있는 두 개의 밴드를 갖는데 전자가 차 있는 아래쪽 밴드를 ‘가전자대’, 전자가 비어있는 위쪽 밴드를 ‘전도대’라 부른다.

외부 에너지를 받게 되면 가전자대에 있는 전자는 전도대로 들뜨게 되고, 전자가 사라진 빈자리를 정공이라 한다.

정공은 전도대로 올라간 전자와 쌍을 이뤄 엑시톤이라는 준입자를 형성한다.

엑시톤은 ‘밝은 엑시톤’과 ‘다크 엑시톤’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 밝은 엑시톤은 빛에 흡수돼 쉽게 감지되는 특성으로 인해 양자점 디스플레이(QLED) 등에 이미 활용되고 있다.

반면 다크 엑시톤은 밝은 엑시톤에 비해 수명이 더 길고 안정적이어서 반도체로 사용하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빛에 흡수가 거의 없어 감지가 어렵다.

이 때문에 다크 엑시톤은 지금까지 단일 소재에서의 작동 원리만 규명됐을 뿐 실제 반도체 소자 환경과 유사한 여러 소재 적층의 이종접합소자에서는 어떻게 발현되는지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었다.

이에 공동연구진은 한 장의 전이금속이황화화합물(TMD) 위에 다른 종류의 TMD를 쌓은 TMD 이종접합소자로 레이저 빛을 쬐며 엑시톤의 거동을 확인했다.

그 결과 TMD 소재를 쌓는 순서에 따라 다크 엑시톤이 발현되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고, 특히 상부 TMD 물질 경우에는 쌓는 순서와 관계없이 항상 다크 엑시톤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가해준 빛의 세기가 감소할 때 다크 엑시톤이 밝아짐을 밝혀내어 빛의 세기에 따른 다크 엑시톤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에너지 혹은 색깔을 구분하는 ‘에너지 필터’와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파워 필터’에 다크 엑시톤을 활용, 광대역 태양전지 효율을 개선할 가능성도 열었다.

이영희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연구단장. /뉴스1
이영희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 연구단장. /뉴스1

이영희 단장은 “이종접합 물질에서 처음으로 다크 엑시톤을 발견함에 따라 차세대에 기대하는 파워 및 에너지 필터 기능을 가진 차세대 광반도체 응용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저명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지난달 8일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

대표이사/발행인/편집인 : 이영섭

|

편집국장 : 채원배

|

주소 : 서울시 종로구 종로 47 (공평동,SC빌딩17층)

|

사업자등록번호 : 101-86-62870

|

고충처리인 : 김성환

|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병길

|

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종로 0676호

|

등록일 : 2011. 05. 26

|

제호 : 뉴스1코리아(읽기: 뉴스원코리아)

|

대표 전화 : 02-397-7000

|

대표 이메일 : web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사용 및 재배포, AI학습 활용 금지.